•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5.7℃
  • 구름조금대전 2.0℃
  • 맑음대구 1.7℃
  • 맑음울산 5.6℃
  • 맑음광주 2.4℃
  • 맑음부산 7.8℃
  • 맑음고창 0.1℃
  • 구름많음제주 10.6℃
  • 구름많음강화 2.7℃
  • 흐림보은 1.1℃
  • 맑음금산 -1.5℃
  • 맑음강진군 0.3℃
  • 맑음경주시 0.3℃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2일 토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지난해 일자리 87만 개 늘었지만 절반 이상 고령층

 

지난해 일자리가 87만개 증가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그러나 일자리의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 고령층의 일자리로 나타났다. 반면 한창 일해야 할 20대와 30대 일자리 수는 제자리에 머물렀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총 2645만개로 전년보다 87만개(3.4%) 증가했다. 늘어난 일자리 87만 개 중 44만 개는 60세 이상인 고령층이 차지했다. 50대는 26만 개, 40대는 10만 개, 30대는 5만 개였다. 20대는 1만 개 증가에 불과했다.

 

전체 일자리 점유율은 50대가 635만개(2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631만개(23.8%), 30대 528만개(20.0%), 60세 이상 486만개(18.4%) 순이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19.2%)이 가장 크고, 도소매(12.4%), 보건‧사회복지(9.6%), 건설업(8.2%) 순이었다. 일자리 수는 보건‧사회복지(12만개), 도소매(11만개), 제조업(9만개), 정보통신(9만개) 등에서 증가했다. 금융·보험(-1만개)업은 유일하게 일자리가 감소했다.

 

성별로 구분하면 남자 일자리가 1499만개(56.7%)로 여자 1146만개(43.3%)의 1.31배에 달했다. 전년 대비 남자 일자리는 42만개(2.9%), 여자 일자리는 45만개(4.1%) 각각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비중을 보면 제조업이 507만 개(19.2%)로 가장 많았다. 도·소매업 328만 개(12.4%), 보건‧사회복지 253만 개(9.6%), 건설업 217만 개(8.2%) 순이었다. 전체 일자리 중 임금근로 일자리는 2160만개(81.7%), 비임금근로 일자리는 485만개(18.3%)로, 전년 대비 각각 65만개(3.1%), 22만개(4.7%) 증가했다.

 

지난해 일자리의 대부분은 중소기업이 이끌었다.. 전체 일자리(2654만개) 가운데 1644만개(62.2%)는 중소기업에서 나왔고, 이어 비영리기업(561만개, 21.2%)·대기업(440만개, 16.6%) 순이었다.

 

남자가 점유한 일자리는 1499만개(56.7%)로 여자(1146만개)의 1.31배 수준이었다. 전체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은 5.4년으로 전년(5.3년)보다 소폭 늘었다. 대기업 일자리 평균 근속기간이 7.9년, 비영리기업 7.7년, 중소기업이 3.9년으로 차이가 났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