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4 (금)

  • 구름많음동두천 8.5℃
  • 흐림강릉 9.7℃
  • 황사서울 9.0℃
  • 황사대전 10.3℃
  • 황사대구 12.9℃
  • 구름많음울산 12.4℃
  • 황사광주 9.2℃
  • 흐림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8.4℃
  • 황사제주 11.4℃
  • 구름많음강화 7.8℃
  • 흐림보은 9.8℃
  • 흐림금산 9.2℃
  • 흐림강진군 8.8℃
  • 흐림경주시 11.7℃
  • 흐림거제 13.3℃
기상청 제공

정보


크라우드펀딩 통해 자금모집&투자유치 성공!

- 우수 농식품 기업을 위한 사업설명회, ‘아그로벤처데이’ 성료
-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사업설명회 ‘아그로벤처데이(Agro-venture Day)' 열려
- 농식품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모집에 성공한 우수기업 총 7개 사 참여
- 크라우드 펀딩 참여로 2022년 11월까지 340개 사, 37억 자금 모집에 성공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민연태, 이하 ‘농금원’)의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사업설명회 ‘아그로벤처데이(Agro-venture Day)’가 15일, 농식품 투자지원센터 가온누리 인베지움에서 열렸다.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사업설명회 ‘아그로벤처데이’는 우수 농식품 기업에 펀딩 지원금과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는 행사로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한 기업들을 위한 자리다.

 

 

지난 2016년 처음 시작한 농금원의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사업’은 창업 초기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농식품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했다. 사업에 참여한 농식품 경영체가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펀딩에 수반되는 비용을 지원하고 후속투자유치로 이어지도록 하는 사업설명회(IR)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36개의 기업이 38억 원의 자금조달에 성공했다. 올해는 11월까지 340개 사가 37억 자금모집에 성공했다. 

 

이날 열린 행사에는 농식품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모집에 성공한 우수기업 총 7개사(∆케이에스 코퍼레이션 ∆꼬랑지마카롱 ∆주식회사 헤니 ∆주식회사 샐리쿡 ∆(주)바다플랫폼 ∆매월매주 ∆주식회사 더한줌)가 참여했다. 

 

이들 기업 중 증권형 우수사례인 주식회사 샐리쿡은 암식단 간편식 개발 스타트업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6천만 원 가량의 자금마련에 성공한 기업이다.

 

이처럼 ‘아그로벤처데이’ 행사는 농식품 경영체가 지속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투자자와의 네트워크 자리를 마련하고 후속 투자 유치를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치러진다. 또 행사를 통해 농식품 기업의 IR자료 및 피칭 컨설팅을 진행하는 등 효과적인 IR발표에 대한 지원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농금원 관계자는 “성장 가능성이 큰 농식품 분야 유망기업에 대한 후속투자 유치가 이뤄지도록 앞으로도 노력할 방침”이라며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우수기업 투자사례들이 더 확대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기대감을 전했다.

 

한편, 농금원은 크라우드펀딩 우수기업들의 판로지원을 위해 팝업스토어를 열고, 벤처 투자 관련 법률 교육·상담을 실시하는 등 농식품 분야 투자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발판 마련을 지속해나가고 있다.

 

※ 이 기사는 농업정책보험금융원·M이코노미뉴스 공동기획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정황근 농림부 장관, 양곡관리법 본회의 통과 후 “대통령에 거부권 제안할 것”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3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하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률안에 대한 재의 요구안(거부권)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안에 대해 그 뜻을 존중해야 하지만 이번 법률안은 그 부작용이 너무나 명백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해 9월 개정안이 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이후 정부는 지속적으로 개정안에 대한 부작용을 설명드리며 국회에 심도있는 논의를 요청드렸다“며 “많은 전문가도 개정안에 반대 목소리를 내왔으며 38개나 되는 농업인 단체·협회,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도 신중한 재고를 요청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야당 주도로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수정안도 의무 매입 조건만 일부 변경했을 뿐 정부가 가장 우려하는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하는 본질적 내용은 그대로 남아 있다”며 “쌀 생산 농가와 농업 미래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변함없다. 그동안 계속 밝혀왔듯 (개정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