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크라우드펀딩 통해 자금모집&투자유치 성공!

- 우수 농식품 기업을 위한 사업설명회, ‘아그로벤처데이’ 성료
-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사업설명회 ‘아그로벤처데이(Agro-venture Day)' 열려
- 농식품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모집에 성공한 우수기업 총 7개 사 참여
- 크라우드 펀딩 참여로 2022년 11월까지 340개 사, 37억 자금 모집에 성공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민연태, 이하 ‘농금원’)의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사업설명회 ‘아그로벤처데이(Agro-venture Day)’가 15일, 농식품 투자지원센터 가온누리 인베지움에서 열렸다.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사업설명회 ‘아그로벤처데이’는 우수 농식품 기업에 펀딩 지원금과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는 행사로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한 기업들을 위한 자리다.

 

 

지난 2016년 처음 시작한 농금원의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사업’은 창업 초기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농식품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했다. 사업에 참여한 농식품 경영체가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펀딩에 수반되는 비용을 지원하고 후속투자유치로 이어지도록 하는 사업설명회(IR)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36개의 기업이 38억 원의 자금조달에 성공했다. 올해는 11월까지 340개 사가 37억 자금모집에 성공했다. 

 

이날 열린 행사에는 농식품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모집에 성공한 우수기업 총 7개사(∆케이에스 코퍼레이션 ∆꼬랑지마카롱 ∆주식회사 헤니 ∆주식회사 샐리쿡 ∆(주)바다플랫폼 ∆매월매주 ∆주식회사 더한줌)가 참여했다. 

 

이들 기업 중 증권형 우수사례인 주식회사 샐리쿡은 암식단 간편식 개발 스타트업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6천만 원 가량의 자금마련에 성공한 기업이다.

 

이처럼 ‘아그로벤처데이’ 행사는 농식품 경영체가 지속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투자자와의 네트워크 자리를 마련하고 후속 투자 유치를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치러진다. 또 행사를 통해 농식품 기업의 IR자료 및 피칭 컨설팅을 진행하는 등 효과적인 IR발표에 대한 지원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농금원 관계자는 “성장 가능성이 큰 농식품 분야 유망기업에 대한 후속투자 유치가 이뤄지도록 앞으로도 노력할 방침”이라며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우수기업 투자사례들이 더 확대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기대감을 전했다.

 

한편, 농금원은 크라우드펀딩 우수기업들의 판로지원을 위해 팝업스토어를 열고, 벤처 투자 관련 법률 교육·상담을 실시하는 등 농식품 분야 투자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발판 마련을 지속해나가고 있다.

 

※ 이 기사는 농업정책보험금융원·M이코노미뉴스 공동기획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