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5.5℃
  • 구름조금강릉 7.4℃
  • 흐림서울 6.0℃
  • 구름많음대전 4.5℃
  • 박무대구 5.9℃
  • 구름많음울산 10.3℃
  • 흐림광주 7.3℃
  • 맑음부산 11.1℃
  • 맑음고창 8.5℃
  • 구름조금제주 15.2℃
  • 흐림강화 6.4℃
  • 흐림보은 0.7℃
  • 흐림금산 4.0℃
  • 맑음강진군 5.9℃
  • 구름많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메뉴

건설


작년 경기도 집값 상승률...오산·시흥·동두천↑ 성남·과천·하남↓

 

지난해 경기도 집값 상승률을 살펴본 결과 소위 상급지와 하급지 간의 역전현상이 뚜렷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KB부동산 자료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경기도에서 가장 아파트 값이 많은 오른 곳은 오산시였고, 시흥시와 동두천시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오산시의 경우 49.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2021년 초 오산시 아파트 매매가가 5억원이었다고 가정하면, 2021년에만 2억 4650만원 가량 상승한 것이다. 시흥시와 동두천시도 각각 43.11%, 39.26%의 오름폭을 기록했다.

 

이들 지역은 한때 집값 상승이 더뎠으나 지난해 들어 분위기가 반전됐다. 실제 2019년까지만 해도 오산은 -3.80%, 시흥은 -1.11%, 동두천은 -1.23% 등으로 집값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2020년 들어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다 지난해에는 경기도 전체에서도 가장 가파른 상승국면으로 전환했다.

 

 

한편 소위 상급지로 평가받는 성남, 과천, 하남의 경우 이 기간 동안 가장 저조한 상승률을 기록하며 희비가 엇갈렸다. 2019년 대비 2021년 이들 지역의 경기도 내 집값 상승률 순위는 과천(1위->25위), 성남(3위->26위), 하남(8위->24위)로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했다.

 

각 지역의 희비 교차에는 정부의 규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과천, 성남 등의 경우 평균 아파트 가격이 9억원 이상으로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에 정면으로 부딪혔다. 이에 상대적으로 규제가 약하면서도 미래가치가 높은 지역에 수요자들이 몰린 것이다.

 

실제 오산시와 시흥시의 평균 아파트 가격은 4억원대, 동두천시는 2억원대로 대부분의 주택 구매 시 매매가격의 50%까지 대출 가능하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은 "경기지역 주택들이 서울 집값에 부담을 느낀 수요자들로 채워지듯 경기지역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곳으로 수요자들이 채워진다"면서 "물론 단순히 가격만 따지는 것이 아닌 교통, 개발호재가 있는 곳들은 수요가 더 찾아 가격 상승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오산, 동두천, 시흥에서 신규 공급이 이어진다. 각 지역별로는 오산시에 오산세교 한양수자인(786가구) 등 9664가구, 시흥시에 신천역 한라비발디(1297가구) 등 4094가구, 동두천시에 동두천지역주택(가칭) 441가구 등이 분양예정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서울청 사이버수사대, 문자로 악성 앱 설치 후 120억 가로챈 일당 검거
경찰은 청첩장이나 부고장 등의 문자메시지로 악성 애플리케이션 설치 링크를 보내 계좌를 탈취하는 방식으로 총 120억원을 가로챈 스미싱 조직을 검거했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정보통신망법·통신사기피해환급법 등 위반 혐의로 국내 총책인 중국 국적 A씨를 비롯한 일당 13명을 검거해 검찰에 송치, 이들 중 4명은 구속 송치했다고 26일 밝혔다. A씨는 스미싱 범행을 위해 한국으로 파견돼 입국 직후 중국에서 알던 지인을 모아 1년 7개월 동안 범행을 이어온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청 사이버수사대는 이번에 국내 조직원은 모두 검거했으며 중국에서 스미싱 범행을 지시한 중국인 해외 총책 2명은 인터폴 적색 수배령을 내렸다. 중국인 총책 중 한 명은 2014년 전자금융사기의 일종인 파밍 사기로 국내에서 8년간 징역을 살았던 전과도 있었다. 이들은 청첩장, 부고장, 교통법규 위반 고지서 등으로 꾸민 문자에 악성 앱 설치 링크를 포함시켜 이를 설치하게 한 다음 휴대전화 권한을 탈취해 금융계좌 등에서 자금을 이체한 것으로 조사됐다. 권한을 탈취한 이들은 피해자 명의 휴대전화 유심을 무단 개통해 피해자 휴대전화를 먹통으로 만들었다. 그러고는 휴대전화 본인인증, 신분증 위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