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획


붕괴한 토지 윤리(倫理), 세계적인 기상재해 초래

'제6부' 흙의 가치와 지렁이

 

“바람과 석양처럼, 야생의 것들은 당연히 있는 것으로 여겼지만 발전이 시작되자 사라져 버렸습니다. 이제 우리는 이런 질문을 받게 되었습니다. 더 높은 '생활 수준'이란 것이, 자연에 있는 것들이나 야생과 자유를 희생하면서 얻어야 할 만큼 가치가 있나요? 라고요. 소수에 불과한 우리에겐 스마트폰(텔레비전)을 보는 것보다 진짜 거위 떼를 볼 기회가 더 중요합니다.

 -알도 레오폴드  (1887~1948, 미국의 생태학자, 환경운동가)

 

Like winds and sunsets, wild things were taken for granted until progress began to  do away with them. Now we face the question whether a still higher 'standard of living' is worth its cost in things natural, wild and free. For us of the minority, the opportunity to see geese is more important than television. - Aldo Leopold /ecologist

 

 

20세기 환경윤리의 아버지로 불리는 「알도 레오폴드」는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교수였다. 생태학자, 산림보호자, 환경 보호론자로 그가 쓴 《A Sand County Almanac and Sketches Here and There》는 14개국 언어로 번역돼 200만부 이상이 팔렸다. 

 

그는 토지 윤리(Land Ethics)의 주창자였다. 인간은 토지 공동체의 정복자가 아니라, 흙, 물, 식물, 동물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평범한 구성원 또는, 시민에 불과함을 겸허하게 깨달아야 한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우리가 토지를 훼손하거나 남용하는 짓은 토지를 상품으로 여기는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한다. 토지와 같은 자연자원을 경제적 잣대로 평가하는 한, 인간은 결코 토지와 공존할 수 없다. 

 

토지는 단순히 흙이나 땅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식물과 동물, 흙이 끊임없이 에너지를 흐르게 하는 회로(回 路)의 기반이기 때문이다. 지구의 기후 위기는 인간의 어머니라 불리는 흙과 연계된 동물, 식물 간의 에너지 교환 회로가 끊어지면서 시작됐다. 

 

알도 레오폴드가 죽은 뒤 73년, 그동안 인류는 화학비료와 농약 등을 사용하는 생산성 위주의 관행 농법으로 지구의 농토를 지렁이나 미생물이 살지 못하는 침묵의 흙 Aldo Leopold 으로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여기에 극심한 가뭄과 장기간에 걸친 건조화 현상, 그리고 농경지와 가축 사육을 늘리기 위해 숲을 개간하는 산림벌채와 더는 용납할 수 없는 극심한 공기와 물의 오염, 자연환경 파괴, 그리고 지하수의 고갈로 인한 지구촌 곳곳의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숲이 사라지면 지표면에 건조한 하강기류가 형성되어 강우량이 감소하고, 강우량이 줄어들면, 흙이 흡수하는 수분량이 적어져 자연히 흙 속에서 살아가야 할 생물의 다양성이 손실돼, 생태계의 교란이 시작되며 작물 재배가 불가능하다. 그러면 땅 위의 모든 유기체는 자동 소멸(消 滅)하거나 운명(殞命-죽음)한다. 

 

무분별한 대량 생산을 통해 값싸고 간편히 먹겠다는 인류의 목표가 환경을 오염시켜 기후 위기를 가속화 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인간이 오염시킨 자연의 공기, 물, 그리고 토지를 정화하고, 앞으로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단 말인가? 

 

세계기상기구(WMO)는 ‘2021 기후 상태 보고서’에서 “올해 전 지구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약 1.09도 높다” 고 밝혔다. 지난 2월 미국에서는, 100년에 한 번 올 법한 북극 한파가 닥쳐 남부 텍사스까지 강타했다. 여름에는 미국 북서부와 캐나다, 지중해에 재앙에 가까운 폭염(暴 炎)이 이어졌다. 7월에 서유럽과 중국에서 기록적인 폭우가 내려 물난리가 났다. 8월에는 그린란드 대륙 빙하에서 사상 처음으로 눈이 아닌 비가 내렸다. 빙하의 녹는 속도가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도 2013~2021년 동안 해마다 4.4㎜씩 높아졌다. 해양의 산성화도 심각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바다 깊은 곳부터 산꼭대기, 녹아 사라지는 빙하까지 가혹한 기상 이변 속에 지구 전역의 생태계와 공동체의 황폐(荒廢)가 일어나고 있다”고 위기 대책을 호소했다. 먼 미래의 일만 같던 환경과 기후 위기는 이제 세계 곳곳에서 기상재해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우리의 일상까지 침범하는 초미의 긴박한 문제가 됐다. 

 

향후 10년이 인류의 생존을 결정하는 마지막 기회


지난해 10월 31일~11월 12일까지 영국 글래스고에서 각국의 수반(首班)과 외교관, 그리고 환경운동가 등 2만여 명이 모인 가운데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nference of parties 26, COP26)가 끝났다.  

 

우선, 이번 총회에서 의장을 맡은 알록 샤르마(54세, 전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장관, 현 영국 하원의원)가 총회가 열리기 전인 7월 27일 TED(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의 약자)에서 “이제야 기후 문제가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이동했다면서 인류는 친환경 산업 혁명을 일으켜 환경을 해치지 않고 일자리와 번영을 창조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될 절체절명의 시간이 되었다,”고 말하면서 향후 10년이 지구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COP26 총회에서 ▲2030년까지 메탄가스 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감축, ▲2030년까지 산림파괴 중단 및 산림 복원, ▲2030년~2040년까지 석탄을 원료로 한 발전(發電) 중단(한국 등 40여 개국) 등의 합의를 이끈 「알록 샤르마」 의장이 특히 강조한 말은 이렇다. 

 

“지구 온난화를 제한하고 섭씨 1.5도를 유지하려면 땅을 지속(持續)이 가능하게 사용해야 하고, 모든 중심을 자연보호와 복원에 두어야 한다” 

 

그는 지금처럼 인류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무분별하게 화학비료와 농약 등을 사용해 흙의 건강성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지속이 가능한 건강한 흙으로 되돌려 놓지 못하면, 기후 위기에 대처할 수 없다, 고 경고한 것이다. 곧 흙에 사는 생물 다양성을 살리는 것이 기후 위기 대처보다 먼저라는 의미다. 이 때문에 이번 총회에 참석한 200여 개 나라 중 45개국이 ‘지속 가능한 농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신속한 행동과 투자를 약속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기후목표(Aim for Climate, AIM4C)」 계획도 그중 하나다. 「기후목표 계획」은 2010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처음 제시한 「기후 스마트농업」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기후 스마트농업」은 ▲기후 변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 ▲기후 변화에 따른 적응력(resilience, 복원력) 증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존 농업생산의 틀을 바꾸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가의 식량안보 확보와 국가적 개발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신품종, 신 작물 및 적응력이 우수한 축종(畜種) 도입, ▲맞춤형 비료와 완전발효 비료의 개발, ▲ 신재생에너지 개발 등의 기술과 토양관리 등과 같은 영농 관리방법을 모색하고 있는데 「기후목표」에는 세계적인 메이저 농화학, 식품기업 ‘인 존 디어’, ‘바이엘-몬산토’, ‘신젠타’, ‘크롭라이프 인터내셔널’, ‘카길’, ‘네슬레’, ‘월마트’ 등도 참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제 농민운동조직인 「비아 캄페시나 ( La Via Campesina )」는  「기후 스마트농업」은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변형생물체)와 농약을 결합하는 기업 주도의 농업체계를 유지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기후 위기, 탄소 중립의 열쇠는 건강한 흙  

 

이들은 「유엔기후변화협약」을 하나의 거대한 시장 메커니즘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기후 스마트농업」이라면서, ‘사람, 기후 그리고 자연을 모두 이롭게 하는 음식, 농업, 산림체계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가진’ 자신들이 맞서 싸우겠다고 선언했다. 즉, 농업을 통해 탄소를 땅속에 격리하고, 흙을 살리는 것을 우선으로 하는 ‘생태학을 기반으로 하는 농업’과 ‘지속 가능한 임업’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른바 친환경 농업, 유기농업, 보전농업, 저탄소 농법, 생태농업, 정밀농업 등 개념은 서로 다르지만, 탄소 중립을 넘어서서 생물 종의 보호와 훼손된 생물 다양성 복원을 위해 흙 살리기를 펼치겠다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탄소 배출량 감소에 초점을 맞춘 이번 COP26 총회에서 흙의 중요성이 부각 된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그건 흙이 거대한 탄소 저장고이기 때문이다. 흙이 저장하는 탄소량은 대기 중의 탄소저장량보다 최소 3배 이상이다. 기후 위기를 해결하려면 탄소를 ‘제로’ 상태로 만들어야 하는데 흙이야말로 훌륭한 탄소 흡수원이라는 것이다. 


전 지구의 흙이 포집할 수 있는 탄소 총량은 2400기가톤으로 대기 중 탄소량 860기가톤의 2~3배나 된다. 문제는 흙이 황폐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UN에 따르면, 매년 가뭄과 사막화로 약 1200만ha(1ha=3025평)의 토양이 사라진다. 여기에 전 세계 흙의 75%는 농사짓기 힘든 불모지로 알려져 있다. 

 

사막은 연중 강우량이 250mm 이하인 지역을 말한다. 사람이 살 수 없는 땅이다. 강우량이 250~500mm가 오는 지역이 초원이다. 초원에서는 초식동물이 살 수 있고, 농사를 지을 수 없어서 사람은 가축을 방목해 먹고 산다. 500mm~1000mm의 비가 오는 지역이 밭농사 지역으로 밀, 감자, 옥수수 등을 주식으로 한다. 1000mm 이상 오는 지역에서 쌀농사가 가능하며, 2000mm 이상이 오면, 2모작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니 물과 흙이 부족하고 오염이 된다면, 장차 인류는 식량을 어디에서 구할 수 있는가? 하루 세끼를 못 먹는 인구가 세계적으로 3천만 명에 가깝다. 오염된 흙과 물을 되돌려 놓지 않는다면 전쟁과 기아, 그리고 전염병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인류가 지금 당장 흙을 살리는 친환경 농업으로 바꿔나가야 할 긴박한 이유가 바로 여기 있는 것이다. 

 

흙을 파괴하는 것은 나라를 파괴하는 것, 지렁이를 아는 지도자를 기다리며

 

1930년대 미국은 대공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설상가상 오클라호마 등 중서부 대평원지역에서 수년간 흙먼지 폭풍이 발생하고 가뭄이 들어 농작물 재배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다. 원인은 토양 남용으로 인한 침식이었다. 식겁(食怯)한 당국은 토양보전법을 제정해 토양 보정국을 만들고 1937년에는 ‘표준 토양보전위원회법’을 통과시켰다. 국가의 미래를 지키자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F.D.루스벨트는 이렇게 말했다. 


“땅을 파괴하는 것은 미국을 파괴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국가에 없어서는 안 될 게 땅입니다. 만일 국가가 자유를 잃게 되면 찾으면 됩니다. 국가가 분단되면 통일을 위해 노력하면 됩니다. 그러나 땅과 같은 자연자원이 파괴되면 국가는 성립할 수 있는 근거를 잃게 됩니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흙은 인간의 어머니’라는 신념으로 전국의 주지사들에게 ‘표준 토양보전위원회법’을 보내 주정부 법을 개정하도록 했다. 이후 약 3천 개의 토양보전위원회가 전국에 만들어져 오늘날 미국 토지 보전을 위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는 기후 위기 시대에 다시 한번 흙을 되돌아봐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흙이야말로 앞서 말했듯이 탄소 저장고 외에 지구상에서 가장 큰 생물 다양성 저장고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만약 환경 오염이 계속돼 흙 속의 미생물들이 견디지 못하는 순간, 생물의 다양성이 무너져 갑작스럽게 우리의 생명을 위협할 것, 이라고 과학자들은 경고하고 있다. 심지어 흙의 생물 다양성 저장고가 없어지면 육상 생태계는 붕괴하고 말 것, 이라고 세계자연기금(WWF)이 「지구생명보고서 2020」에서 밝히기도 했다.  

 

 

흙 1g 속에는 5000여 종, 1억 개의 생명체가 살고 있다.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지만 이들이 있기에 모든 생명이 살아간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살충제 등이 들어가 토양 미생물들이 파괴되고, 흙의 질이 떨어지면, 식물이 흙 속에 가두어 둔 탄소가 다시 대기로 달아나 대기 오염을 일으키는 건, 물론이고 식물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쳐 영양소가 현격히 떨어진다. 

 

1950년대 한 개의 사과로 섭취했던 미네랄양을 얻으려면 1998년에 생산된 사과 26개를 먹어야 한다, 고 어느 미국의 유기농 학자가 밝힌 바 있다. 

 

흙 속의 지렁이가 살아야 지구가 산다 

 

비가 오면 흙 속에 있던 지렁이들이 밖으로 기어 나온다. 피부호흡을 하는 녀석들이라 빗물이 흙 속에 들어오면 공기가 희박해져 숨을 쉬려고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하는 것이다.  내 주변의 흙이 아직 건강하다는 신호여서 반갑지만, 간혹 행인에게 밟혀 죽거나, 바닥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여서 처참한 최후를 맞는 녀석들이 안타까워 필자는 손으로 집어 다시 흙 위에 옮겨놓기도 한다. 


지렁이야말로 건강한 흙의 척도이다. 녀석들은 흙 속에 낳은 노랗고 깨알보다 작은 알에서 깨어나 3개월쯤 자라면 어른이 된다. 흙 속의 유기물을 먹고 이를 장에서 분해해 무기물로 바꿔준다. 식물의 뿌리는 무기물만을 흡수 할 수 있으니, 지렁이가 만들어 주는 무기물이 반가울 수 밖에 없다. 


지렁이가 사는 흙은 그렇지 않은 흙보다 미생물 수가 50 배나 더 많다. 미생물이 많아지면 해충이나 병원균이 들어와 봤자 미생물의 수에 치어 우점종(優占種)을 차지할 수 없으니까, 자연 식물의 병도 막아주는 것이다. 땅 위에서 혹시 달걀 반 크기로 흙 알갱이가 뭉쳐 있는 걸 보신 적이 있는가? 그게 지렁이 똥이다. 지렁이 똥은 빗물에 닿으면 진흙처럼 녹아서 흙으로 다시 들어가 그 땅을 기름지고 살아 숨 쉬는 곳으로 만든다. 이런 지렁이가 없다면 죽은 땅이다. 지렁이가 없는 세상은 어떻게 될까? 

 

 

감히 성서에 비견되는 소설이라는 코맥 매카시의 《THE ROAD》. 지구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명시하지 않았지만, 도시는 불타고 인류와 생명은 거의 멸종했다. 문명은 파괴됐다. 세상은 온통 잿빛이다. 불에 탄 세상은 온통 재로 뒤덮였고, 하늘 가득 떠도는 재에 가려 태양도 보이지 않고 한낮에도 흐리고 뿌연 빛만이 떠돌아다녔다. 무채색의 황폐하고 고요한 땅, 신은 사라지고 신을 열렬히 찬미 하던 이들도 사라진 땅.

 

그곳에 아버지와 어린 아들이 남쪽을 향해 길을 걷는다. 살아남은 자들은 먹을 것을 찾아 텅 빈 집들과 상점들과 쓰레기 더미를 뒤지고, 연명하기 위해 인육을 먹는 사람들도 있다. 트럭을 타고 다니며 인간을 사냥하는 무리도 있다.

 

이 소설을 다시 보면서, 나는 감히 예단하고 싶어졌다. 흙 속에서 지렁이가 사라지는 날이 곧 지구가 멸망하는 날이 될 것이라고. 어째서 역사 속의 리더들은 농업과 자연에 그토록 관심을 기울였으면서도 지구의 병은 갈수록 깊어만 가는가? 환경의 중요성을 외쳤지만, 인류의 생명원(生命源)인 흙과 흙 속의 지렁이와 미생물들을 보지 않으려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인간이 죽어서 돌아가는 흙, 흙이 건강하지 못하면 지상의 모든 것은 살아남지 못하리라. 

 

흙의 가치와 지렁이를 자연상태로 친환경 산업 혁명으로 되돌려 놓고 위기의 지구를 살려낼 새로운 리더의 출현을 기다려 본다.

 

MeCONOMY magazine December 2021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따릉이 타면 내년부터는 돈을 지급한다고요? ...“개인 자전거 이용자에게도 지급하라”
정부, “따릉이 이용자에게 탄소중립 포인트를 제공하겠다” 이용빈 국회의원, “개인 자전거 이용자에게도 포인트 지급하라” 서울시 따릉이와 같은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면 내년부터는 주행거리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받게 되어 현금처럼 사용하게 될 전망이다. 정부는 세계 자전거의 날(4월 22일)을 앞두고 15일 이와 같은 내용으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공공자전거 이용실적에 따라 탄소중립 포인트를 지급하는 시범사업을 일부 지자체와 2025년에 추진 후 그 결과를 토대로 2026년부터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정부의 추진방안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대상은 공공자전거에 국한한 것에 대해 국회 탄소중립위원회 소속 이용빈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은 그 대상을 본인 소유 자전거 이용자들에게도 지급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용빈 의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자전거 교통수단 분담률을 높이는 방안에 소홀한 현실을 지적하며 “기후위기 시대에 기존 자동차 중심이 아닌, 보행자와 자전거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하며 ‘자전거 대한민국’으로 만들어 가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따라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