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고강도 부동산대책을 잇따라 내놓으며 주택시장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지만 오피스텔 시장은 오히려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 정부가 건축법상 준주택인 오피스텔은 규제대상에서 대다수 제외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청약자격 요건과 대출규제가 비교적 까다롭지 않은 오피스텔은 아파트 분양시장의 높은 문턱을 넘지 못한 실수요자들의 마음을 자극하고 있다. 오피스텔은 아파트와 달리 임대사업자 등록도 가능해 각종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오피스텔은 청약통장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거주지 제한요건과 주택 소유 여부와 상관없이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든지 청약할 수 있다. 또 분양시장에서 오피스텔 분양권은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채를 보유해도 무주택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이처럼 규제의 칼날을 벗어난 오피스텔은 아파트 대체상품이라는 인식까지 더해지는 추세다.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1만5,638건의 오피스텔이 거래됐다.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 관측을 시작한 2006년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동 기간(1~10월, 9879건)보다도 1.6배 증가한 수치다. 반면 아파트의 거래량은 같은 기간 32.3%(20만692건→13만6,044건) 줄었다.
서울 오피스텔 매매거래량도 큰 폭으로 늘었다. 부동산 리서치업체인 리얼투데이가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 오피스텔 매매거래량(1~10월)이 1만5,546건에 달했다. 지난해 동기간 대비 31.9% 늘었다.
분양시장도 뜨겁다. 지난 3일엔 서울의 ‘신길AK푸르지오’ 오피스텔 분양홈페이지 서버가 다운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청약접수를 위해 최고 5시간 가량 기다리기도 했다. 이날 96실 모집에 총 12만5919명이 신청해 평균 131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수도권을 넘어 지방도 오피스텔 열기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 3일과 4일 GS건설이 대구 서구에 ‘두류역 자이’의 청약 접수를 진행한 결과 86실 모집에 무려 5만8261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이 677.5대 1에 달했다.
건설사들은 이같은 오피스텔 호황에 힘입어 올해 연말에도 분양물량을 속속 선보인다. 경기 파주 ‘힐스테이트 더 운정’, 대전 도안 ‘대전 도안 센트럴 아이파크’, 서울 관악구 ‘센트레빌 335’ 등이 분양을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