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대부업의 개인대출잔액은 감소하고, 여신전문회사(여전사)의 대출잔액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아 2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말 11조3,486억 원이었던 대부업의 개인대출잔액은 2020년 9조2,225억 원으로 18% 감소했지만, 여전사의 개인대출잔액은 2019년 106조6,579억 원에서 112조6,343억 원으로 5.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져 2021년 2분기까지 6개월 동안 대부업의 대출잔액은 4.53% 감소한 8조8,043억 원을, 여전사의 대출잔액은 3.5% 증가한 116조6,493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신용등급별로 여전사의 대출잔액 증감률을 세분화하면 고신용자의 증가세와 중저신용자의 하락세가 뚜렷하게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600점 이상의 신용등급을 받은 이들은 모두 대출잔액의 증가세를 보였으나, 600점 미만의 신용등급자들은 모두 대출잔액이 감소했다. 여전사와 같은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는 중저신용자의 대출잔액은 감소하고, 오히려 고신용자의 대출잔액이 늘어난 것이다. 진 의원은 “높아진 대출 문턱에 시중은행에서 자금을 빌리지 못한 사람들이 제2금융권 등으로 몰리는 풍선효과가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부업의 경우에는 지난해 기준 오히려 모든 신용등급별로 대출잔액이 감소했다. 이는 법정 최고금리가 대부업의 대출원가보다 낮아지면서 대부업체의 수익성이 크게 약화되며 대부업 시장 자체가 축소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여전사와 같은 제2금융권에서 밀려난 중저신용자들이 돈을 빌릴 곳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 됐다는 것이 진 의원의 설명이다.
진 의원은 “실수요 대출자들이 풍선효과로 인해 고금리 대출로 밀려나는지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이들이 대부시장 축소 이후 불법 사금융 등으로 밀려나는 일이 없도록, 중저신용자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