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대형폐가전 무료 방문 수거 서비스 실시


서울시는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버리고자 하는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등 대형폐가전을 직접 방문해 무료 수거하는 서비스를 지난 6월부터 3개월간의 시범시행을 마치고 10()부터 25개 자치구 전역에서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시민이 대형폐가전을 버리려면 5,000~12,000원의 수수료와 함께 지정된 장소까지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무료 수거하는 서비스를 시행함으로써 번거로움이 덜 할 것으로 보인다.

무료방문 수거 가능한 대형폐가전 품목은 TV,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및 공기청정기, 냉온 정수기 등으로 가로세로높이 중 하나라도 1m 이상이 되는 가전제품이다.

대형폐가전 무료 방문 수거서비스는 인터넷(www.edtd.co.kr) 또는 전화상담실(1599-0903)로 예약하면 원하는 날짜에 맞춰 방문하며, 시민 편의를 위해 토요일에도 8시부터 20시까지 운영한다.

서울시는 이번 폐가전 무료 방문 수거 서비스연간 58만대 대형폐가전 처리수수료 46억 원 면제 불법적인 처리 사전 차단으로 온실가스 약 8만 톤 감축 , 구리 등 21천 톤 유가 자원 생산해 연간 216억 원 절약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폐가전 무료 방문 수거 사업은 환경오염도 사전에 방지하고, 시민부담도 줄여주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 시 전역으로 확대 시행하게 됐다, “잘못 버리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지만 재활용하면 처리비용의 절감은 물론 자원절약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대형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를 시민이 많이 이용해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개인정보 유출' 테무 13억 과징금…“얼굴·주민번호도 무단처리”
중국 온라인 유통 플랫폼 ‘테무(Temu)’가 한국 소비자 몰래 개인정보를 해외로 넘긴 사실이 드러나면서, 우리 정부로부터 13억6,000여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4일 전체회의를 통해 테무의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에 대해 과징금과 과태료 처분, 개인정보 관리체계 개선 권고 등을 결정했다고 15일 발표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4월부터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 업체들을 대상으로 국내법 위반 여부를 조사해왔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해 7월, 개인정보 국외 이전 관련 규정 위반으로 19억7,800만원의 과징금을 선고받은 바 있다. 반면 테무는 매출 관련 자료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아 처분이 지연됐다. 김해숙 개인정보위 조사1과장은 “테무의 자료 제출이 미흡해 확인 작업이 길어졌고, 최근 입점 판매자 정보 수집 건도 함께 조사하면서 시간이 더 소요됐다”며 “조사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은 점도 고려돼 가중처분이 내려졌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테무는 상품 배송 등의 명목으로 한국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싱가포르, 일본 등 여러 해외 업체에 위탁하거나 보관토록 했지만, 이용자에게 이를 고지하거나 개인정보처리방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