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국대 연구팀이 B형 간염바이러스로 인한 만성 간염의 근본적인 원인의 실마리를 풀어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김균환 교수(약리학)와 신구철 연구교수 팀은 간염 환자의 간 조직 내 바이러스 단백질이 자가포식 형태로 성장하면서 면역세포와 결합하지 않아 만성간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B형 간염바이러스는 만성간염과 간경화, 간암 유발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진 간염바이러스의 일종으로 만성간염의 원인 가운데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세포가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그러나 면역반응에 의해 감염세포가 제거되지 않은 채로 바이러스가 계속 증식해 염증을 유발하게 될 경우 간세포는 비정상조직(반흔조직)으로 변한다.
이 같은 현상이 6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간의 염증 상태를 만성감염이라 하며, 이 현상이 지속될 경우 간경화와 간암 같은 치명적 질병으로 발전하게 된다.
하지만 만성간염은 감염세포가 제거되지 않은 채 바이러스가 계속 증식하며 염증을 유발해 그간 학계의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았다.
이에 건국대 연구팀은 B형 간염 환자의 간 조직 내 바이러스 단백질(HBx)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 자가포식(오토파지, Autophagy)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김균환 교수는 “간 조직 내 바이러스 단백질이 유발하는 자가포식 현상을 억제하면 감염세포 사멸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인체 면역반응 회피 원인과 바이러스에 감연된 세포의 생존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됐다”면서 바이러스에 감연된 세포는 보호하고,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법 개발이 기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