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19시44분, 20시32분께 경북 경주시 지역에서 각각 규모 5.1,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에 의하면 19시44분께 발생한 지진은 전진(前震)으로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9km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앙 깊이는 15km 내외이며 경주와 대구는 진도Ⅴ, 부산, 울산, 창원은 진도Ⅳ라고 전해진다.
이어 20시32분께 발생한 지진은 본진(本震으)로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8km 지점에서 발생했으며, 진앙 깊이는 15km 내외 인 것으로 알려졌다. 본진의 진도는 경주와 대구가 진도Ⅵ, 부산과 울산, 창원은 진도Ⅴ 수준으로 19시44분께 발생한 전진에 비해 규모가 컸다.
지진의 피해나 정도를 나타내는 진도는 로마자가 커질수록 강하며, 진도 Ⅳ에서는 건물 실내에 서 있는 많은 사람들이 지진을 느낄 수 있고, 진도 Ⅴ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지진동을 느끼며 그릇이나 물건이 깨지기도 한다. 그리고 경주와 대구에서 발생한 최대 진도Ⅵ은 많은 사람들이 놀라서 밖으로 나가거나 무거운 가구가 움직이는 정도이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은 남한 전역에서 감지되었고, 1978년 기상청의 계기지진관측 이래 한반도 내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1980년 1월8일 평북지역에서 있었던 규모 5.3 지진 기록을 갈아엎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의 단층면 분석 결과는 전형적인 주향이동단층의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향이동단층은 단층의 상반과 하반이 단층면의 경사와는 관계없이 단층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13일 05시 기준 국민안전처 집계 의하면 인명 피해는 경북 3, 대구 2, 전남 1 등 6명의 경상자가 발생했고, 재산피해는 103건이 접수됐다. 철도(KTX), 원전, 지하철, 댐·저수지 피해사항은 없다고 국민안전처는 전했다.
아울러 기상청은 13일 06시 기준으로 총 179회의 여진이 발생했고, 여진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고 알렸다.
13일 자정기준 전국적으로 지진을 감지한 사람들의 신고는 총 5만1천620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간대별 여진 발생 현황(규모 2.0 이상, 9.13. 06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