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율이 7년 6개월 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26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7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에 따르면 2009년 38.3%로 조사된 이후 2011년 50.5%, 2013년 60.1%, 2015년 70.3%, 2016년 75.1%로 7년 5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이달 들어 0.3%p 하락한 74.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은 7월 서울지역 전세가율이 하락한 것은 “전세가격 상승률(전월 대비 0.24%)이 매매가격 상승률(전월 대비 0.54%) 보다 낮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전세가율이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로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은 74.8%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에선 강북지역이 평균을 웃도는 78.2%로 높았으며 강남지역은 72.0%로 나타났으며, 25개 자치구 중 서울 성북구(84.3%), 성동구(80.9%), 구로구(81.6%), 중구(80.4%), 관악구(80.1%), 서대문구(80.0%)로 나타났다.
한편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4% 상승하며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계절적인 비수기에 접어들었고 그동안 전세가격이 크게 상승한 강남지역의 경우 재건축 단지의 이주 수요 감소 요인이 있고, 위례 신도시 및 미사 강변도시 입주 물량 과다의 영향으로 전세 물건 소진 속도가 점차 늦어지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