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일 정부가 편성한 2018년도 예산안과 세제개편안을 직접 설명하고 통과를 위한 협조를 요청하기 위해 국회를 찾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회 시정연설에서 정부의 2018년도 예산안이 ‘사람중심 경제’라는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예산안임을 강조하며 대응적 차원에서 국회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를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가 표방하는 ‘사람중심 경제’는 결코 수사가 아니다. 절박한 현실인식”이라며 “‘사람중심 경제’는 우리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사람중심 경제’는 우리 자신과 우리 후대들을 위한 담대한 변화다. 바로 지금이 변화의 적기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일자리’ ‘가계소득 증대’ ‘혁신성장’ ‘국민안전과 안보’에 내년 예산안 및 세제개편안의 중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내년도 예산안 총지출은 429조원이다. 올해보다 7.1% 증가한 수준으로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라며 “경제와 민생을 살리기 위해 재정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재정건전성 유지에도 만전을 기했다. 불요불급한 예산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11조5,000억원의 지출을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을 통해 내년도 예산안과 세법개정안 통과에 협조를 요청했다. 문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은 이번이 두 번째다. 문 대통령은 1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정부는 '사람중심 경제'를 본격 추진하고 민생과 튼튼한 안보를 뒷받침하기 위해 2018년 예산안과 세법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며 "내년도 예산안 총지출은 429조원이다. 올해보다 7.1% 증가한 수준으로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편성한 예산"이라면서 "경제와 민생을 살리기 위해 재정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번 예산사업에는 지난 선거에서 야당이 함께 제안한 공약 공통사업도 많다. 청년대책, 비정규직 문제, 아동수당 도입, 육아휴직 확대,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이라며 "새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국정과제와 지난 대선의 공통공약, 안보 문제에 대해서 대승적 차원에서 국회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를 특별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다음은 문 대통령의 시정연설 전문이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정세균 국회의장님과 국회의원 여러분 정부가 편성한 내년도 예산안을
한국 월급쟁이의 평균 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하위권이고, 6년간 임금 증가율도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분석됐다. 1일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이 OECD 회원국들의 임금현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근로소득자의 평균 임금(Wage)은 2만9,125달러로, OECD 34개국 중(터키 제외) 23위 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총생산(GDP)은 1조4,112억 달러로, OECD 회원국 중 상위권에 혹하는 8위 규모이나, 평균 임금 수준은 이보다 크게 낮은 것이다. 이번 분석에는 OECD에서 제공되는 평균 임금을 집계해 주요 국가별로 분석했다고 박 의원은 설명했다. OECD 통계에 기초한 주요국의 평균 임금은 2016년 환율을 기준으로 이전 6년간의 평균 임금에 적용한 수치를 비교했다. 평균 임금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임금 증가율도 낮은 수준이었다. OECD 34개국의 평균 임금 증가율은 5.39%인 반면, 우리나라는 2010년 2만8,040달러에서 2016년 2만9,125달러로 3,87% 증가에 그쳤다. 6년간 임금이 가장 많이 상승한 국가는 라티비아(27.90%)와 아이슬란드(24.26%)였고, 그리스와 포르투갈은 각각 –15
3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참석한 이해진 전 네이버 의장이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이 전 의장은 정무위원들의 질문에 사과할 것을 바로 사과하고 해명할 부분은 해명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3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종합국정감사에 참석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국감에 출석한 증인들을 보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다스 실소유주 의혹을 비롯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차명재산 처리 문제, 최순실 은닉재산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국세청이 적발한 차명재산 규모가 지난 5년간 9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2~2016년 적발 차명재산 현황에 따르면 5년간 1만1,776명이 차명재산으로 총 9조3,135억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국세청이 적발해 낸 차명재산을 적발 금액별로 보면 유가증권에 5,210명이 6조8,160억원을 차명으로 숨겨 1인 평균 13억원 수준이었고, 예·적금에는 5,816명이 1조8,916억원을 숨겨 평균 3억2,524만원, 부동산에 750명이 6,059억원을 차명으로 숨겨두고 있었다. 연도별로는 2012년에 1,244명, 2조2,274억원을 적발했고, 2013년에는 1,831명, 2조4,532억원을 적발해 금액이 증가했다가 2014년에는 3,265명, 1조7,681억원, 2015년 2,957명, 1조5,585억원, 2016년 2,479명, 1조3,063억원으로 점차 감소했다. 김 의원은 “차명재산은 금융실명제법 위반뿐만 아니라 조세포탈 행위이며, 자금세
원자력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나날이 늘아가고 있는 반면,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의 방사선 안전관리 조직체계는 분리·축소하는 방향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수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수원 내 방사선 안전관리 조직체계는 2003년 방사선 안전실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으나 지속적으로 분리·축소돼 현재는 3개 조직으로 분산돼 있다. 2003년에는 방폐물 관리와 방재·방사선 안전업무가 방사선 안전실에 통합돼 있었지만, 2009년 방사선 안전팀과 방재대책팀으로 분리됐다. 2011년 후쿠시마 사태 후 한수원은 위기대응능력 강화라는 명분으로 위기관리실을 방재대책팀 산하로 신설·편입했다. 이는 한수원의 평시 방사선 관리는 안전처가 맡고 사고 시에는 위기관리실에서 담당한다는 의미라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게다가 고리1호기처럼 폐로 원전 해체 시 전담조직인 원전사후관리처도 방재업무를 하고 있어 한수원의 방사선 업무는 세 개로 나눠져 있는 상황이다. 미국, 캐나다 등은 원자력 발전사의 본사 또는 원전본부 산하에 통합된 방사선 안전조직을 운영하고 있어 독립성 확보는 물론이고 업무 전문성과 효율
우리나라에서 매년 60조원 규모의 상속과 증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이 국세청의 ‘과세유형별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최근 9년(2008~2016년) 동안 273만6,796명이 251조5,674억원을 상속받고 2010만5,600명이 281조8,756억원을 증여받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총 533조4,430억원으로, 연평균 59조2,714억원이다. 상속과 증여는 재산을 무상으로 주는 행위라는 점에서는 같으나 그 원인이 사망인지 아닌지에 따라 그 성격이 구분된다. 상속은 사망으로 인해 개시된다. 우리나라는 프랑스(45%), 미국·영국(40%) 등보다도 상속·증여세의 최고세율(50%)이 높은 국가지만, 각종 공제혜택 때문에 실제로 세금을 내는 경우는 드물다. 현행법에서는 상속세에 대해 2억원을 기본적으로 공제해주고, 10년 합산 5,000만원(미성년자 2,000만원) 이하를 증여받은 자녀는 증여세를 면제받기 때문이다. 상속받은 273만6,796명 가운데 상속세를 낸 사람은 전체 피상속인의 1.9%인 5만2,607명에 불과했다. 증여를 받은 사람 중 증여세를 낸 사람도 210만5,600명 중
한국수력원자력의 안전사고가 꾸준하게 발생하는 가운데, 안전사고의 피해자는 대부분 용역업체 직원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한수원 직원과 용역업체 직원들 간 방사선 피폭량 차이가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돼 ‘피폭의 외주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24일 이찬열 국민의당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부터 올해 7월까지 무려 181건의 사고가 발생해 9명이 사망하고 187명이 부상을 입었다. 또한 전체 196명의 사상자 가운데 용역업체 직원은 179명으로 91.3%를 차지했으며, 한수원 직원은 16명(8.2%)이었다. 사망자 9명은 전원 용역업체 직원이었다. 원전별 인력 현황을 보면 정규직 대비 용역업체 인력이 가장 많은 곳은 고리본부로, 정규직원 대비 소속외인력이 무려 47.8%에 달했다. 다음으로 한빛본부 46%, 월성본부 44.2%, 한울본부 39.1% 등 순이었다. 직무별 소속외인원은 전체 5,474명 중 발전설비 정비가 3,044명으로 가장 많았고, 방사선 관리가 723명으로 뒤를 이었다. 2014년에는 한 해에만 무려 6명의 용역업체 직원이 사망했다. 한빛 5호기 방수로
장기간 이어지는 불황 속에서 지난해 사행산업 매출액이 2년 연속 연매출 20조원을 돌파하는 등 사상최고를 기록했다. 24일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이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와 국세청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사행산업 매출 규모는 총 184조2,993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2007년 14조5,000억원이던 사행산업 매출액은 2010년 17조3,000억원, 2014년 19조8,000억원으로 매년 꾸준하게 증가했고, 2015년에는 20조5,000억원, 2016년에는 21조9,000억원으로 2년 연속 연매출 20조원을 돌파하며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평균 8,280억원씩 매출이 꾸준하게 늘어 9년 동안 7조4,500억원 증가한 셈이다. 사행산업의 총매출액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국내경제가 불황일 때에도 전년대비 9.9% 증가한 15조9,699억원을 기록했다. 사행산업 매출액 중에는 경마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경마 매출액은 75조2,826억원으로 전체 사행산업 매출액의 40.8%를 차지했다. 복권은 16.3%인 29조9,948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고, 체육진흥투표권(스포츠토토)이 1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의 완화기조 유지 방침을 밝혔다. 이 총재는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 “국내 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을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0.25%p 인하한 이후 연 1.25%로 운영하고 있다”며 “국내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북한 리스크, 중국 및 미국과의 교역여건 변화 등 대외여건의 전개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는 점을 고려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총재는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선진국을 보면 미국이 내수 증가에 힘입어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유로지역과 일본도 개선흐름을 지속하고 있고, 신흥시장국은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브라질 등 자원수출국의 부진이 완화되고 있다”며 “향후에도 세계경제는 선진국의 내수 증가 등에 힘입어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진,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잠재
근로소득자들의 세부담 증가율이 기업들의 법인세 증가율보다 14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는 23일 ‘근로소득 천분위 통계’ 및 ‘세목별 총부담 세액’을 분석한 결과 2011~2015년까지 근로소득세로 걷은 세수는 18조8,200억원에서 28조1,095억원으로, 9조3,093억원 증가했다. 증가율은 49.52%다. 같은 기간 근로소득세를 포함한 소득세는 42조6,902억원에서 19조7,495억원(46.26%) 더 걷힌 62조4,397억원이었다. 반면, 법인세는 44조8,728억원에서 45조295억원으로 늘어, 경우 0.35% 증가하는데 그쳤다. 총세수에서 근로소득세와 법인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극명하게 대비됐다. 근로소득세가 총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10.44%에서 2015년 13.5%로 3.56% 증가했고, 소득세 역시 23.70%에서 30.0%로 6.3%p 늘었다. 그러나 법인세는 24.91%에서 21.63%로 그 비중이 오히려 3.28%p 내려갔다. 특히, 2011년 총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비슷했던 소득세와 법인세는 5년간 그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한편, 근로소득 천분위 주요 구간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일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5·6호기 건설 중단과 관련해 공론화위원회에서 ‘건설 재개’를 정부에 권고한 것과 관련해 “정부는 공론화위원회의 권고를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와 보완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한편으로 정부가 이미 천명한대로 탈원전을 비롯한 에너지 전환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22일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결과에 대한 대통령 입장’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정부는 다음 정부가 탈원전의 기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대통령의 입장문 전문이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3개월에 걸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이 마무리됐습니다. 정부는 그 결과에 따라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조속히 재개하겠습니다. 국민을 대표하여 어려운 선택을 해주신 시민참여단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자신들의 주장을 성의껏 설명하고 토론에 임해주신 공사재개와 중단, 양쪽 관계자 여러분도 수고하셨습니다.김지형 위원장님과 위원들께서도 국가 차원의 공론화 과정을 책임있게 잘 관리해주셨습니다. 참으로 노고가 많으셨습니다. 우리 국민들은 이번 공론화 과정을 통해 한층 성숙한
종합소득세 상위 0.1%인 사람들은 중위소득자들보다 소득이 24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지는 모양새다. 20일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종합소득세 확정신고자 평균 소득금액을 분석한 결과 2015년 상위 0.1% 5,480명의 평균 소득금액은 26억8,600만원, 상위 1% 5만4,000명의 평균 소득금액은 6억8,000만원을 신고했다. 종합소득세 상위 0.1%의 종소세 금액 비중은 9.1%로 2013년보다 0.3% 상승했다. 이는 전체 종소세 신고자들의 평균 금액보다 90.9배 더 많고, 신고금액의 중간에 위치한 중위소득자보다 248배 더 많은 소득은 신고한 것이다. 종소세 상위 1%의 종소세 금액 비중은 23%로, 2013년보다 0.4% 올랐다. 이들의 종소세 신고금액은 전체 종소세 신고자들의 평균 금액보다 23배 더 많고, 중위소득자보다 62.8배 더 많았다. 김 의원은 “종합소득세 슈퍼 고소득 신고자들의 소득금액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평균 소득금액도 상승했다”며 “특히, 평균 소득과 중위소득자 대비 슈퍼고소득자들의 소득비중은 더욱더 높아져 양극
한국소비자원이 분쟁사건을 처리하는데 법정처리기한을 무려 4배 가량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지상욱 바른정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이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소비자 분쟁조정 사건 처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분쟁 사건의 평균 처리일수는 118.6일로, 소비자기본법에서 정하는 법정처리기간(30일)을 4배 가량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분쟁조정위원회에 상정조차 되지 못하고 있는 미결사건의 경우는 2012년 558건에서 2016년 1,473건으로 약 3배 급증했고, 조정관 1인당 사건 수도 같은 기간 102.3건에서 158.9건으로 사건적체가 심각했다. 이로 인한 소비자 피해는 말할 것도 없다. 실제로 A씨는 골프회원권 계약 해지와 관련해 2016년 8월 17일 한국소비자원에 피해구제를 신청했지만, 사건처리지연으로, 한국소비자원이 올해 1월 31일 사건에 착수해 조사를 하던 중 피신청인이 이미 지난해 10월 7일 폐업해 사건 처리가 불가능해졌다. B씨는 인터넷 교육 수강료 환불과 관련해 지난해 3월 소비자원에 구제를 신청했지만, 소비자원은 올해 2월 조사에 착수, 지연기간동안 증빙자료가 모두 삭제돼 분쟁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