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메뉴

경제


박광온 “매년 60조원씩 상속·증여돼…상속 98%·증여 55% 세금 면제”

상속·증여세 명목세율 최고 50%…실효세율은 절반에도 못 미쳐


우리나라에서 매년 60조원 규모의 상속과 증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이 국세청의 ‘과세유형별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최근 9년(2008~2016년) 동안 273만6,796명이 251조5,674억원을 상속받고 2010만5,600명이 281조8,756억원을 증여받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총 533조4,430억원으로, 연평균 59조2,714억원이다.


상속과 증여는 재산을 무상으로 주는 행위라는 점에서는 같으나 그 원인이 사망인지 아닌지에 따라 그 성격이 구분된다. 상속은 사망으로 인해 개시된다.


우리나라는 프랑스(45%), 미국·영국(40%) 등보다도 상속·증여세의 최고세율(50%)이 높은 국가지만, 각종 공제혜택 때문에 실제로 세금을 내는 경우는 드물다.


현행법에서는 상속세에 대해 2억원을 기본적으로 공제해주고, 10년 합산 5,000만원(미성년자 2,000만원) 이하를 증여받은 자녀는 증여세를 면제받기 때문이다.



상속받은 273만6,796명 가운데 상속세를 낸 사람은 전체 피상속인의 1.9%인 5만2,607명에 불과했다. 증여를 받은 사람 중 증여세를 낸 사람도 210만5,600명 중 절반에 못 미치는 94만9,483명(45.1%)이었다.


즉, 지난 9년 동안 상속은 98.1%(268만4,189명), 증여는 54.9%(115만6,117명)가 세금을 면제받은 것이다.


그나마 실제로 상속세와 증여세를 낸 상위 10%의 실효세율은 명목세율(최고 50%)에 크게 못 미쳤다.


상속받은 재산이 많은 상위 10%(5,262명)는 전체 상속액의 18.3% 규모인 46조454억원을 상속받았고, 상속세로 10조4,813억원을 납부해 실효세율은 22.8%였다.


증여의 경우 상위 10%(9만4,947명)가 전체 증여재산의 48.6%(137조524억원)을 차지했고, 증여세로 22조8,114억원, 실효세율 16.6%를 기록했다.



상속세를 낸 5만2,607명이 상속받은 재산은 부동산이 65.9%(54조7,314억원)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금융자산이 17.2%(14조2,691억원), 유가증권 11.3%(9조3,812억원), 기타자산 5.6%(4조6,626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증여도 부동산이 가장 많았다.


증여세를 낸 94만9,483명의 증여재산은 부동산이 48.8%(63조8,916억원), 금융자산 23%(30조1,379억원), 유가증권 21.7%(28조3,945억원), 기타자산 6.5%(8조4,785억원) 등 순이었다.


박 의원은 “가족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것은 사회적으로 이해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공제혜택을 주는 것은 합리적”이라면서도 “그러나 100억원 가까운 상위 10%의 고액 상속재산과 미성년자 증여에 대해서는 공제제도의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평균 상속재산은 1억2,800만원으로 최근 9년간 가장 많았다. 5,060만원으로 가장 적었던 2008년 대비 250%(7,740만원)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인원은 9만9,124명 줄어든 반면, 상속재산은 16조9,723억원 늘었다.


1인당 평균 증여재산은 2014년이 1억6,39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가장 적었던 2009년 1억630만원과 비교하면 5,760만원 증가한 금액이다. 지난해는 1억4,050만원이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소비자원, 직원 사칭· 대리결제 등 소상공인에 '사기 주의보'
한국소비자원이 기관 직원을 사칭하며 자영업자에게 접근해 판매물품 구매를 조건으로 다른 물품 결제를 대신하도록 유도하는 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며 소상공인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한 남성이 꽃집, 화훼농원 등에 전화해 "한국소비자원 직원인데 나무, 화분 등을 대량 구매하고 싶다"며 견적서를 요청했다."이후 기관 상징(CI)과 홈페이지 주소가 인쇄된 명함을 보낸 뒤, ‘물품 구매 확약서’ 작성이나 홍삼·매실원액 등 다른 제품을 대신 구입해 달라며 대리 결제를 유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최근 어려운 경기를 틈타 소상공인들의 절박한 심리를 이용한 사기 행위가 끊이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공공기관은 결코 물품 구매를 위해 대리 결제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소비자원은 소상공인에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구매대행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1일 '햅핑'이 운영하는 '의류 도매 S-마트' 쇼핑몰을 이용한 소비자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소비자원은 최근 1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81건은 대부분 배송 지연 등으로 인한 정당한 환급 요구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