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메뉴

경제


지난해 연매출 1천억 이상 벤처 기업 450개 돌파

중소기업청은 21일 벤처 기업 6만9천801개 가운데 지난해 연매출이 1천억 원을 넘어선 기업이 454개로 전년의 416개보다 9.1%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매출 '1천억원 클럽'에 새로 가입한 벤처는 56개로, 나노스(2천160억 원), 카카오(2천108억 원), 해성옵틱스(1천828억 원), 경동원(1천751억 원), 휴롬(1천560억 원) 등이다. 전체 순위로는 코웨이가 1조 9천337억 원으로 1위에 올랐고, 팬택(1조 3천356억 원), 넥슨코리아(1조 2천522억 원), 네이버(1조 2천235억 원), 모뉴엘(1조 1천410억 원) 등 8개 벤처가 연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1천억원 클럽' 벤처가 올린 전체 매출액은 101조 2천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7.1%를 차지했다. 총 고용 인원은 16만6천164명으로 전년보다 3.1% 늘었고, 업체당 평균은 366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벤처의 성장성과 수익성은 대기업보다도 좋았다. 매출액 증가율(이하 12월 결산법인 441개사 분석)이 8.2%로 대기업(0.6%)이나 중소기업(4.6%)보다 높았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도 평균 6.9%로, 대기업(4.6%)이나 중소기업(4.2%)을 웃돌았다.

 

창업 이후 매출 1천억 원을 달성하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6.8년으로 전년(17년)보다 0.2년 단축됐다. 통신기기·방송기기가 10.8년으로 가장 짧았던 반면 음식료·섬유·(비)금속은 20.3년으로 가장 길었다.

 

업종별 비중은 기계·제조·자동차 등 일반 제조업이 49.7%로 가장 많았고, 컴퓨터·반도체·전자부품 등 첨단 제조업이 33.3%, 소프트웨어·정보통신 6.3%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59%가 몰렸고, 경남 15.9%, 충청 14.7%, 경북 6.3% 등의 순이다.

 

중기청은 '벤처 1천억 원 기업'의 성공 요인으로 기술 혁신과 해외 수출을 꼽았다. 이들 벤처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은 2.7%로 대기업(1.2%)이나 중소기업(0.7%)보다 높았다. 특허권 보유 건수도 평균 53.6건으로, 일반 벤처 평균(3.5건)의 15배에 달했다. 해외 수출은 매출 대비 25.9%에 달해 대기업(17.4%), 중소 제조업(14%)보다 많았다.

 

중기청은 오는 22일 '벤처 천억 기업' 기념식을 열어 이들 벤처에 기념패를 수여하고, 후배 벤처에 노하우를 전수하는 '벤처천억 청년창업 멘토링 지원단'을 발족할 예정이다. 이들 벤처는 기념식에서 벤처 펀드 출자금을 지난해 말 3천462억원에서 3년이내에 5천억원까지 확대하기로 결의할 예정이다. 연매출 1천억 원 이상인 벤처는 2005년 78개, 2006년 102개, 2007년 152개, 2008년 202개, 2009년 242개, 2010년 315개, 2011년 381개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