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메뉴

경제


6월 주택인·허가 착공 증가 분양·준공은 감소

6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국 42,427세대로 전년동월대비 1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서울 강남 개포재건축, 마포 염리5구역 재개발 등 도시정비 실적영향으로 9.3% 증가한 18,115세대가 인·허가 되었고, 지방은 경남(창원 대원동 재건축, 감계지구), 경북지역의 실적 증가영향으로 12.4% 증가한 24,312세대로 조사됐다.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29,874세대로 49.7% 증가한 반면, 아파트외 주택은 12,553세대로 31.2% 감소하면서,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도시형생활주택은 4,093세대로 49.0% 감소하면서, ‘13년 이후 계속해서 감소세를 나타냈다. 주체별로는, 공공 1,105세대, 민간 41,322세대로 조사됐다.

 

금년 6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45,682세대로, 전년동월대비 33.4% 증가했다.

 

수도권은 14,020세대로 18.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으나, 이는 지난해 인천지역의 대규모 단지 착공 따른(용현 스카이뷰 3,971세대)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지방은 대구(테크노폴리스, 옥포 보금자리주택지구), 충남(아산탕정택지개발지구, 천안제3일반산업단지)지역에서 실적이 크게 증가하며, 86.7% 증가한 31,662세대가 착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31,988세대로 55.5% 증가하였고, 아파트 외 주택은 13,694세대로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주체별로는, 공공은 12,504세대, 민간은 33,178세대가 착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년 6월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은 전국 28,879세대로 전년동월대비 28.2% 감소했다.

 

특히, 수도권은 81.2% 감소한 3,917세대가 분양(승인) 됐으나, 이는 지난해 가재울뉴타운(4,300세대) 및 공덕 재건축(1,164세대) 등 분양물량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반면, 지방은 경남(창원감계, 1,665세대), 대구(대구서재, 1,553세대), 천안(제3산업단지, 1,269세대) 지역을 중심으로 지방 분양시장의 증가세를 주도했다.

 

유형별로는, 분양 21,409세대, 임대 6,801세대, 분양 21,409세대, 조합 669세대로 각각 20.9%, 22.6%, 84.7% 감소했다. 주체별로는, 공공은 7,603세대로 56.7% 감소했고, 민간은 21,276세대로 6.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년 6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38,694세대로서, 전년동월대비 2.3% 감소했다.

 

수도권은 인천지역(인천구월보금자리주택, 서창6블럭 등) 실적이 대폭 증가하면서 29.1% 증가한 19,712세대로 조사됐으나, 지방은 부산(△82.2%), 충북(△57.4%), 충남(△62.1%)지역 감소세로 22.1% 감소한 18,982세대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26,485세대로 3.2% 증가했고, 아파트외 주택은 12,209세대로 1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별로는, 공공은 인천 구월보금자리주택 영향으로 40.9% 증가한 8,828세대, 민간은 10.4% 감소한 29,866세대로 조사됐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