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한글날, 23년 만에 공휴일로 재지정

9일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해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는 제567주년 한글날이다. 올해 한글날은 23년 만에 공휴일로 재 지정됐다.

1926년 음력 9월 29일, 양력으로는 11월 4일을 국어학자 단체인 조선어연구회가 제1회 ''가갸날''로 정했다. 조선어연구회는 이듬해 음력 9월 29일, 기관지 ''한글''을 창간하면서 이 날을 ''한글날''로 고쳐 불렀다.

1932년부터는 양력 10월 29일을 한글날로 정했다가, 2년 뒤인 1934년엔 양력 10월 28일에 기념행사를 치렀다. 훈민정음 반포일이 음력 9월 10일인 것으로 드러난 1940년엔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9일이 한글날로 확정됐다.

1949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제정되면서 한글날은 국가적으로 쉬는 공휴일이 됐다. 1970년 이 규정이 전면 개정되었을 때에도 한글날은 공휴일로 남았다.

그러나 한글날은 1991년부터 법정 공휴일이 아닌 기념일로 지위가 내려앉았다. 2006년부터는 기념일에서 국경일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쉬지 않는 ''까만날''로 남았다.

결국은 지난해 말에야 ''한글날''이 법정 공휴일로 재 지정됐고, 올해부터 모든 사람이 이날을 다 함께 쉬는 날로 지내게 됐다.

한류열풍으로 해외에서 한글을 배우는 사람이나 사용자뿐 아니라 외국인 전문연구자도 늘고 있어서 한글날의 위상은 더 커지고 있다.

이희 기자 leehee@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