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제8회 '김근태상'에 박정훈 대령과 군인권센터 공동 수상

'김근태의 평화와 상생을 위한 한반도재단’과 ‘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가 ‘제8회 민주주의자 김근태상’의 수상자로 ‘박정훈 대령’과 ‘군인권센터(소장: 임태훈)’을 공동으로 선정했다.

 

 

14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가진 시상식에는 수상자인 박정훈 대령과 군인권센터 관계자, 그리고 김근태재단 회원들과 민평련 소속 국회의원들이 참석했다.

 

선정위원회는 수상 결정문을 통해 “민주주의는 늘 위협받고 때론 좌절하기도 한다”며 “상관의 명령, 멀게는 권력의 명령을 거부하고 항명죄라는 가시면류관을 쓴 군인”으로 ‘박정훈 대령’을 소개했다.

 

이어 “1980년 서울의 봄에는 정치군인이 승리하고 참군인이 좌절했지만 2024년 서울의 봄은 다를 것이며, 참군인인 박정훈 대령이 승리할 것”이라고 그를 응원했다.

 

선정위원회는 “박정훈 대령 덕분에 우리는 군에 대한 희망과 믿음을 얻을 수 있었고, 외부의 적을 상대로 최고의 용맹을 자랑하는 해병대 정신은 내부의 적을 상대로도 최강의 용맹을 보여줬다”면서 “이 상은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전하는 존경과 감사의 마음이고, 박정훈 대령의 용기만큼 민주주의가 튼튼해졌고 군인정신이 강해졌다”며 마음을 전했다.

 

공동수상자인 군인권센터에 대해서는 “불굴의 소명 의식으로 사각지대에 방치된 군인을 공론장으로 이끈 주역”이라고 소개하며, “온전한 시민 대접을 받지 못하고, 인권과 민주주의가 쉽게 무시되고 있는 군 현실을 바로 잡고, 군의 특수성과 인권의 보편성을 조화시키는 노력을 꿋꿋이 이어왔다”며 감사를 전했다.

 

‘민주주의자 김근태상’은 김근태재단과 민평련이 주관해 김근태 선생의 5주기인 2016년 처음 제정됐으며, 제1회 수상자로는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가 선정됐다.

 

또 2017년 제2회 수상자는 ‘윤민석 작곡가’, 제3회 수상자는 본상에 ‘재일한국인양심수동우회’, 특별상에 ‘울산 리버스위트 입주민 일동’, 제4회 수상자는 ‘조선학교와 함께 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제5회 수상자는 ‘대한민국의 모든 간호사들’, 제6회 수상자는 본상에 ‘영화사 명필름’, 특별상에 ‘김미숙 김용균재단 이사장’, 제7회 수상자는 미얀마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민주화 운동가인 ‘판셀로(Pencilo, 필명)’가 선정된 바 있다.

 

김근태상은 상패와 수상결정문, 상금 1천만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패는 민주주의자 김근태의 생전 모습을 환조로 제작하며, 매년 시대 상황을 반영하는 의미 있는 모습을 담는다. 상패 제작은 ‘평화의 소녀상’을 제작하는 김운성, 김서경 작가가 맡았다.

 

수상결정문은 ‘민주주의자 김근태상’을 수여하는 이유와 가치를 설명하는 글로서, 민주주의자 김근태 선생과 오랜 우정을 나누고 뜻을 함께했던 장사익 선생이 직접 쓴 글씨로 제작하여 전달할 예정이다.

 

 

한편, 시상식 직후 ‘민주주의자 김근태 글꼴 전시-따뜻한 마음을 담아 희망을 퍼트리다-’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로비에서 <김근태 손글씨> 전시회 개막식이 열렸다. 김근태재단과 안그라픽스가 주관하는 <김근태 손글씨> 전시회는 김근태 선생의 민주주의·인권을 향한 따뜻한 마음과 희망을 전달하고자 기획됐으며, 모든 전시작품은 김근태 선생 저서 일요일에 쓰는 편지에서 발췌했다.

 

<김근태 손글씨> 이야기와 이번 전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김근태재단 홈페이지(gtf.or.kr)를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으며, 전시는 오늘 13일(화)부터 16일(금)까지 4일간 열릴 예정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남도미식의 세계화 이끈다
‘K-푸드의 원류’ 남도미식 최근 ‘K-푸드’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류 열풍 을 이끌고 있다.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이 한국 문화콘텐츠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분야로 꼽혔다. 단순히 한국 음식을 맛보는 것 이외에도 역사적·문화적·정서적인 측면까지 관심이 확대되면서, 한식은 그야말로 세계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식의 대표, 한식의 뿌리는 어디인가. 답을 찾는 데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지 않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맛의 고장’을 묻는다면 심중팔구 전라남도를 꼽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손맛과 정성 가득한 맛의 본고장, 청정바 다와 황금들녘이 키워낸 산해진미의 천국, 그곳은 누가 뭐래도 단연 전라남도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K-로 컬미식 33선’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6종(목포 홍어, 여수 갯장어, 담양 떡갈비, 무안 낙지, 완도 전복·김)의 남도미식이 선정됐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대한민국식 품명인 81명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명이 활동하는 등 전라남도는 명실상부 K-미식의 대표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전국 최초 미식 테마 정부 승인 박람회 전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