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4.5℃
  • 맑음강릉 19.8℃
  • 맑음서울 15.7℃
  • 맑음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8.0℃
  • 구름많음울산 16.7℃
  • 구름조금광주 18.6℃
  • 구름많음부산 18.3℃
  • 구름조금고창 18.0℃
  • 흐림제주 18.3℃
  • 맑음강화 13.3℃
  • 맑음보은 17.0℃
  • 맑음금산 17.9℃
  • 구름많음강진군 19.5℃
  • 구름조금경주시 19.1℃
  • 구름많음거제 18.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메뉴

경제


해외유학 너무 좋아하는 대한민국...교육수지 적자 심각

해외지출은 43억인데 국내수입은 1억도 안 돼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이 외국에서 교육비로 지출한 금액은 모두 43억6420만달러로 2011년 43억8950만달러보다 소폭(2530만달러) 줄었다.

2006년과 2007년 각각 45억1460만달러와 50억2530만달러로 고점을 기록했던 유학·연수 지출액은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주춤한 이후 2010년에 44억8800만달러, 2011년 43억8950만달러로 감소세다.

반면 지난해 우리의 유학·연수 수입액은 2012년에 5460만달러를 기록, 2011년(1억2830만달러)에 비해 급격히 감소했다. 2011년을 제외하고는 1억달러에 훨씬 못 미치는 수입을 거둬들였다.

이에 2006년 이후 7년간 유학·연수 부문 적자 규모가 308억8140억달러에 달했으며, 연평균 44억달러를 넘었다.

우리나라 유학·연수 지출액은 1993년 2억9740만달러였으나 해마다 증가해 1997년엔 11억5770만달러에 이르렀다.외환위기 이듬해인 1998년에 8억2천970만달러로 급감했다가 증가세로 반전해 2004년(24억9380만달러)에 처음으로 20억달러를 넘었다.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50억2530만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우리나라 유학·연수 지출액은 39억9920만달러(2009년)에서 44억8800만달러(2010년) 사이 박스권을 형성했다.

전문가들은 "경기침체가 장기화하고, 국내 교육수준이 많이 개선된 덕에 외국 유학이나 연수 수요가 더는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천년의 미소 반가사유상···AI와 3D프린팅으로 재탄생
3D프린팅 서비스 기업 ‘글룩’이 운영하는 아트커머스 플랫폼(스컬피아)은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브랜드 ‘뮷즈(MUDS)’, 인기 일러스트 최고심 작가가 협업을 통해 탄생시킨 ‘반가사유상 마음 시리즈’를 지난달 20일 정식 런칭했다고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 용산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이번 프로젝트는 천년 넘게 고요한 사유의 자세로 위로와 치유를 전해온 우리나라의 대표 유산인 반가사유상을 현대적인 감각과 기술로 재해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반가사유상 마음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첨단 기술을 통해 전통적인 형태에 새로운 움직임을 부여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스컬피아는 AI 기반의 동세(動勢) 연구를 통해 반가사유상의 고유한 미학과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세 가지 제스처를 개발해 담아냈다. ‘반가사유상 마음 시리즈’는 사유의 미소를 간직한 채 ‘K-볼하트’를 하거나, 사랑을 가득 담은 손짓을 보내고(‘사랑가득’), 엄지를 치켜세우는(‘네가최고’) 모습은 기존의 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현대인에게 다정스러우면서도 적극적으로 위로와 용기를 건넨다. AI로 생성된 동세 데이터는 스컬피아의 정교한 3D 모델링 및 고해상도 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