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MZ취준생이 꼽은 가장 어려운 취업준비 항목 1위는?

 

기업들의 채용 전형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정작 신입직 채용을 준비하는 MZ세대 구직자 10명 중 9명 정도는 막상 적당한 취업준비 방법을 찾지 못해 막막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신입직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MZ세대 구직자 1,011명을 대상으로 ‘취업준비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93.9%가 ‘취업준비를 하면서 막막하다고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들 취준생들이 취업준비를 하면서 막막하다고 느꼈던 적은(*복수응답) △내 스펙이 남들보다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가 응답률 43.3%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취업전략, 지원 기업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때(37.2%) △경력직 채용공고만 보이는 등 내가 지원할 곳이 없다고 느낄 때(30.3%) 등이 있었다.

 

이 외에도 △내가 하고 싶은 일이나, 어느 기업에 지원해야 할지 모르겠을 때(17.4%) △번번이 기업으로부터 불합격 통보받을 때(15.7%) △취업준비 등 돈 쓸 일이 자꾸 생길 때(12.2%) △무작정 기업으로부터 연락이 오기를 기다릴 때(5.4%) △부모님 등 지인들의 기대와 우려를 한 몸에 받을 때(5.2%)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특히 MZ세대 취준생들이 취업준비를 하면서 가장 난감해 하는 취업준비 항목으로는(*복수응답) △자기소개서 작성이 응답률67.0%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면접 시 1분 자기소개(38.0%) △영어 등 외국어 능력 개발(19.5%) △직무적합성 역량 개발(16.3%) △인적성검사 준비(11.0%)가 상위 5위 안에 올랐다.

 

이 외에 △블라인드 이력서 준비(9.9%) △기업 정보 분석(8.5%) △AI 채용 준비(6.5%) △면접 복장 준비 및 스타일링(6.1%) 등도 취준생들이 어려워하는 취업준비 항목으로 꼽혔다.

 

MZ세대 취준생들이 취업준비가 막막하다고 느끼는 이유로는(*복수응답) △’아무리 준비해도 경쟁력이 없을 것 같은 자괴감 때문’라는 응답이 44.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마땅히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34.0%)’ △’어느 정도까지 준비하면 좋을지 기준을 몰라서(26.0%)’ △’정보가 너무 없어서(19.1%)’ △’이것만으로도 될까라는 불안감 때문에(15.3%)’ 등이 있었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구직자들의 취업준비에 대한 막막함은 취업하려는 기업 및 직무에 대한 정보 부족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면서 “최근에는 취업포털 등에서 제공하는 동문선배, 현직에 있는 직무, 기업 멘토와 취업고민을 상담할 수 있는 언택트 기반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이번 잡코리아 조사에서 MZ세대 구직자들은 막막한 취업준비 활동으로(*복수응답) △취업포털 등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는 응답이 42.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유튜브 등 취업전략 관련 개인 방송 등을 찾아보며 공부한다(27.5%) △정부 취업지원사업의 도움을 받는다(19.3%) △기업 채용페이지나 SNS 등을 수시로 확인한다(18.5%) 등의 응답도 있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