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신간】 교육의 폴리틱스·이코노믹스

“코로나19는 아이들의 성장과 교육에 많은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공식적인 학교교육이 시작되기 이전의 서너 살짜리 도 피부색, 성별, 언어, 옷차림, 사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민족까지도 기준으로 삼아 개인이나 집단을 구분할 줄 아는데, 감정의 뇌가 일생 중에 가장 빠르게 발달하는 2∼3세의 아이들은 사회화 단계에서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사람들을 마주한다.”― ‘들어가는 글’ 중에서

 

“우리나라 교육은 세계 어느 나라도 따라올 수 없을 정도의 빠른 속력으로 성장하였다. 1960년대부터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교육은 산업의 적재적소에 인재를 수혈하여 노동력이 기반이 되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로 세상이라는 바다는 거칠어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코로나19는 거칠어진 바다를 더욱 사납도록 하는 지진파가 되었는데, 우리 교육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연속적으로 밀려올 거대한 파도를 견디어 낼 수 있을까?” ― ‘1장 쟁점과 진단’ 중에서

 

“교육은 잠자던 인간의 지성을 깨우고 사회라는 거울에 자신을 비추는 겸손함을 만들고 삶을 풍부하게 하는 거름이 된다. 교육을 하는 사람들이 그간 익숙하게 해 왔던 올드 노멀의 구조적 관성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칠 때, 정치가 등 사회의 선택 설계자들이 ‘날아라. 지치지 말고’의 마음가짐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준비할 때, 아이들, 청소년들, 청년들, 그리고 우리나라를 연고로 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밝은 미래가 열릴 것이다.” ― ‘나오는 글’ 중에서

 

한국 교육의 르네상스를 기대하는 것은 가능할까?

 

저자는 이 책이 포스트코로나 시대, 새로운 교육의 방향성을 추적하고자 한 작은 시도라고 말한다. 먼저 「1장 쟁점과 진단」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의 경로와 미래의 방향을 추적하기 위해 교육의 폴리틱스와 이코노믹스에 대한 쟁점과 진단을 내놓는다.

 

그리고 「2장 교육의 폴리틱스」에서는 아이들의 꿈과 청소년들의 기대, 청년들의 사회 진입 준비, 국민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육제도와 교육정책을 형성하고 변동시키는 교육의 폴리틱스의 구조를 들여다 보고자 하였다.

 

이어지는 「3장 교육의 이코노믹스」에서는 학교교육을 위하여 교육재정을 배분하고 사회경제적 조건에 의한 교육격차를 컨트롤하는 교육의 이코노믹스를 살피고, 마지막으로 「4장 교육의 뉴노멀」에서는 혼란스럽고 복잡하고 예측불가능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교육이 나아갈 길을 찾고자 하였다.

 

저자는 이러한 작은 시도가 끊임없이 어어짐으로써 지혜와 예술의 여신 미네르바의 지식의 사신 올빼미가 큰 눈으로 지금까지 우리 교육이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성찰하고, 장래에 좋은 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를 조망하고자 우리 주위를 날 때가 찾아오기를 기대하였다. 

 

또, 우리 교육의 저력을 생각한다면, 흑사병이 중세를 끝내고 르네상스를 이끈 결정적 계기가 되었듯 코로나19가 21세기 한국 교육의 르네상스로 연결되기를 희망하는 것이 욕심만은 아닐 것이라는 저자의 절심함을 책 전반에 담아냈다.

 

교육의 폴리틱스와 이코노믹스의 구조와 궤적에 대한 이해는 코로나19가 교육에 던진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전제조건의 전제이지만, 연역적 사고나 상상력보다는 실용주의라는 차가운 머리, 그리고 분석과 증거가 바탕이 되는 귀납적 사고로 접근했을 때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육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저자 - 김상규 박사

- 도호쿠대학 대학원 공공법정책전공 법학석사

- 와세다대학 대학원 교육기초학전공 교육학박사

현, 전북대학교 학술연구교수

    M이코노미 논설주간

저서 : 『교육의 대화』(2017)

『민족교육 : 일본의 외국인 교육정책과 재일한국인의 교육적 지위』(2017)

『세계의 학교제도: 영국·미국·일본·독일·중국』(2019)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