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7.2℃
  • 맑음강릉 15.7℃
  • 맑음서울 18.7℃
  • 구름많음대전 18.4℃
  • 맑음대구 20.1℃
  • 구름조금울산 18.4℃
  • 맑음광주 20.4℃
  • 구름조금부산 20.5℃
  • 맑음고창 19.9℃
  • 맑음제주 21.0℃
  • 맑음강화 16.6℃
  • 구름조금보은 17.6℃
  • 구름조금금산 18.0℃
  • 구름조금강진군 20.5℃
  • 맑음경주시 20.2℃
  • 구름조금거제 18.7℃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5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구직활동 중 얻기 어려운 정보 2위 ‘연봉’…1위는?

 

구직자들이 취업을 결정하기에 앞서 가장 알고 싶어하는 기업정보는 실제 연봉 수준이었으며, 가장 얻기 어려운 정보는 기업의 조직문화 및 근무 분위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최근 신입직 및 경력직 구직자 568명을 대상으로 ‘취업준비 시 정보습득 현황’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먼저 잡코리아가 설문조사를 통해 구직자들에게 취업을 결정하기 전에 가장 알고 싶은 정보(*복수응답, 이하 응답률)를 꼽게 한 결과 ▲연봉 수준 및 실수령 월 급여가 56.3%의 응답률을 얻어 1위에 올랐다. 2위는 ▲직무(하는 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43.8%)가 차지한 가운데 ▲복지혜택 및 복리후생(23.9%), ▲조직문화 및 근무 분위기(15.3%), ▲재무구조, 실적 등 기업정보(10.2%) 등의 순이었다.

 

특히 최근 수시채용을 진행하는 기업들이 늘어남에 따라 ▲채용 시기(9.0%)나 ▲채용 규모(8.3%)의 정보를 궁금해 하는 구직자들도 늘었으며, 이 외에 ▲재직자들이 평가하는 근무 만족도(7.4%) ▲자격요건 및 합격자 스펙(6.7%) ▲직원들의 평균 재직기간 및 이직률(5.1%) 정보가 궁금하다는 응답도 이어졌다.

 

구직준비를 하면서 가장 얻기 어려운 정보로는(*복수응답) 지원하는 기업의 ▲조직문화 및 근무 분위기가 응답률 38.4%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실제 급여 수준(29.9%) ▲재직자들이 평가하는 근무 만족도(24.5%) ▲하는 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21.7%) 등의 순이었다.

 

실제 이번 잡코리아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 85.6%는 구직 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로는(*복수응답) ▲‘어떤 정보를 준비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가 응답률 34.6%로 가장 많았으며, ▲‘주변에 정보를 얻을 만한 지인이나 선배가 없다(34.4%)’는 응답도 비교적 많았다. 이 외에 ▲취업스터디 등을 하지 못해서(29.4%) ▲오히려 정보가 너무 많아서 진짜 정보를 선별하기 어려워서(25.7%)’ ▲지방에 거주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해서(16.7%) ▲취업준비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돼서(11.9%) 등의 응답도 있었다.

 

구직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으로는(*복수응답) ▲실패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응답률 48.1%로 가장 많았으며, ▲빨리 취업에 성공해야 한다는 압박감(44.2%) ▲정보 부족에 따른 막막감(26.9%) ▲자신감 및 자존감 하락(25.4%) ▲시간 부족에 따른 조바심(18.0%) ▲취업준비에 따른 경제적인 어려움(11.1%)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이번 잡코리아 조사결과, 구직자들이 정보를 얻는 곳으로는(*응답률) ▲취업포털 앱(모바일)이 응답률 6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취업포털 웹(PC) 52.8% ▲지원 기업 채용 홈페이지(14.6%) ▲취업카페 등 커뮤니티(10.2%) ▲포털에서 검색을 통해(9.0%) 취업 관련 정보를 얻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취업정보를 얻는 루트는 연령대 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20대 구직자의 경우는 ▲취업 앱을 이용하는 경우가 응답률 71.7%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반면 40대 구직자들은 ▲취업포털 웹(PC)을 통해 구직정보를 얻는 경우가 67.9%로 가장 높아 차이가 있었다. 또 20대 구직자들은 타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각 기업 채용페이지(20.1%)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경향이 높았으며, 40대 구직자는 ▲주변의 지인 등 인맥을 통해(21.0%) ▲포털에서 검색을 통해(16.0%)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았다. 30대 구직자들의 경우는 타 연령대에 비해 ▲익명 정보 앱(10.1%)을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이 2배 이상 높아 차이가 있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내년부터 7급 공무원 채용 시 지방대 추천 인원 대폭 확대한다
정부가 내년부터 7급 공무원을 채용할 때 지역대학의 추천 인원을 늘리기로 했다. 인사혁신처는 지역인재 우수 인재의 공직 진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추천 인원을 확대하는 내용의 '통합인사지침'을 개정·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개정의 주요 내용인 지역인재 추천 기준 확대 시행은 내달 예정인 지역인재 7급 모집공고에 담겨서 내년도 시험부터 적용된다. 이번 개정에 따라 대학에서 추천을 받아 지원할 수 있는 지역인재 7급 대학별 추천 인원 기준은 최대 12명에서 상한 인원이 폐지된다. 대학별 수습직원 추천 인원 기준이 되는 대학입학정원 구간도 1000명 단위에서 500명 단위로 세분화된다. 그동안은 대학 입학정원이 3000명을 초과하더라도 최대 12명까지만 추천할 수밖에 없어 대규모 대학의 추천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형평성 문제를 제기됐다. 인사처는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 간 통합이 추진되더라도 통합된 정원에 맞춰 추천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역인재 수습직원의 근무 여건도 개선돼 특수지근무·위험근무·특수업무 수행 시 수당을 지급할 수 있어 추가로 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예규 명칭도 ‘통합인사지침’에서 ‘균형인사지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