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사장님 10명 중 7명, 알바생 근속하게 하는 노하우 있다

 

알바몬 조사 결과, 매장을 운영중인 사장님 10명 7명이 알바생을 근속하게 하는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설문에 참여한 사장님들은 고맙다, 잘한다 등 ‘칭찬’을 최고의 비결로 꼽았다.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몬은 최근 알바몬 기업회원 333명을 대상으로 '우리 매장 채용 경쟁력'을 주제로 설문을 실시해 그 결과를 8일 발표했다.

 

먼저 설문에 참가한 사장님들에게 알바생 근속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했다. 그 결과, 약 7개월 정도 근속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즉, 7개월을 주기로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야 하는 셈이다. 잦은 알바생 채용에 따른 어려움은 없을까.

 

해당 질문에 자영업 사장님 10명 중 7명에 해당하는 74.5%가 알바생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사장님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복수응답)은 '면접 때 보여준 모습과 일할 때 모습이 다른 경우가 많아서'가 응답률 5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면접 및 입사일에 노쇼가 많다(47.6%)'는 점도 자영업 사장님들이 알바생 채용 시 겪는 어려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도 △시급 맞추기가 쉽지 않다(19.8%) △이력서 검토 및 면접에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18.1%) 등도 알바생 채용에 있어 어려움 점으로 꼽았다.

 

어렵게 뽑은 알바생들이 오래 근무한다면 사장님들의 채용 업무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알바몬은 설문에 참여한 사장님들에게 우수 알바생을 오래 근속시킬 수 있는 노하우가 있는지 질문했다.

 

그 결과, 사장님 71.2%가 일 잘하는 알바생을 오래 고용할 수 있는 노하우가 있다고 답했다.

 

사장님들이 밝힌 노하우 첫 번째는 ‘알바생에게 수고한다, 고맙다 등 칭찬과 표현을 자주 하는 것(56.1%)’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시급을 높게 준다(48.1%) △식사 제공 및 휴게공간 마련 등 근무환경에 신경을 쓴다(40.1%) △고객 컴플레인 대응을 사장이 직접 한다(23.6%) △일이 없을 때는 조기 퇴근시켜준다(12.7%) 등도 우수 알바생을 근속시키는 노하우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장님들이 가장 선호하는 알바생 유형도 알아봤다.

 

복수응답으로 선택하게 한 결과, 사장님들은 △지각과 결근이 없는 성실한 알바생(48.9%)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손이 빠르고 업무 습득이 빠른(40.5%) △사장님이 없어도 한결같은(39.0%) △활기차고 친절한(31.5%) △오랜 기간 꾸준히 일하는(27.6%) 순으로 선호하는 알바생 유형을 꼽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131개 시민·환경단체 “‘난개발 특혜법’ 산불특별법 공포 규탄”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30개 시민·환경단체와 함께 22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각종 개발특례 독소조항을 담은 경북·경남·울산 초대형 산불 피해 구제와 재건을 위한 특별법」(이하 산불특별법)을 규탄하고 개정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131개 시민·환경단체는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산불특별법이 산불 피해 구제라는 본래 취지를 넘어, 보호구역 해제와 대규모 개발 사업을 손쉽게 허용하는 다수의 독소조항을 포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제 41조부터 61조까지는 사실상 산림투자선도지구 개발 패키지라 불러도 무방하다”며 “해당 조항들은 골프장·리조트·호텔·관광단지 같은 사업을 공익사업으로 둔갑시켜 각종 인허가를 일괄 의제하는 등 다양한 개발특혜를 주어, 산림 난개발의 패스트트랙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림청장의 권한이던 '보전산지 변경·해제'나 '자연휴양림 지정·해체' 권한을 시도지사에게 위임(제32조)해 시도지사의 판단만으로 골프장 같은 임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또, '산림투자선도지구'라는 명목으로 숲속야영장이나 산림레포츠시설 등을 짓기 위해 '산림보호구역'의 지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허용(제56조)했다. 여기에 산림 소유자의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