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정치


이명박·박근혜 사면 '국민통합'?…'기여 못 할 것' 56.1%·'기여할 것'38.8%

진보층 ‘기여 못 할 것' 응답 우세…보수층·중도층 두 의견 '팽팽'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명박·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을 거론하며 그 이유로 '국민 통합'을 강조했지만, 국민 10명 중 6명 가까이는 두 대통령 사면이 국민 통합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1일 YTN '더뉴스' 의뢰로 두 전직 대통령 사면의 국민 통합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기여 못 할 것이다'라는 응답이 56.1%(전혀 기여하지 못할 것 35.2%, 별로 기여하지 못할 것 20.9%)로 다수였다.

 

'기여할 것이다'라는 응답은 38.8%(매우 크게 기여할 것 18.5%, 어느 정도 기여할 것 20.3%)였고,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5.1%였다.

 

권역별로 보면 두 대통령의 사면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다.

 

인천·경기 거주자 10명 중 7명 정도인 71.3%는 전직 대통령 사면이 국민 통합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세부적으로 '전혀 기여하지 못할 것' 50.2%, '별로 기여하지 못할 것' 21.1%로 적극 부정 응답이 절반 정도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서울(35.2% vs. 56.5%)과 광주·전라(31.5% vs .56.1%)에서도 '기여 못 할 것'이라는 응답이 다수였다.

 

그러나 대구·경북(68.3% vs. 29.8%)에서는 '기여할 것'이라는 응답이 더 많아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였다. 부산·울산·경남(48.6% vs. 46.3%)과 대전·세종·충청(40.8% vs. 49.4%)에서는 긍정과 부정 응답이 팽팽하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기여함 21.8% vs. 기여 못 함 70.5%)와 30대(26.8% vs. 71.7%) 등 연령대가 낮을수록 ‘기여 못 할 것이다’라는 부정 응답이 많았다.

 

반면 70세 이상(57.3% vs. 26.3%)과 60대(55.4% vs. 40.5%) 등 연령대가 높을수록 긍정 응답이 많았다.

 

세부적으로도 30대에서 '전혀 기여하지 못 할 것' 50.1%, '별로 기여하지 못할 것' 21.5%였으며, 20대에서는 '전혀 기여하지 못할 것' 47.4%, '별로 기여하지 못할 것' 23.1%로 적극 부정 응답이 많았다.

 

그에 비해 60대에서는 '매우 크게 기여할 것' 29.6%, '어느 정도 기여할 것' 25.8%였으며, 70세 이상에서는 '매우 크게 기여할 것' 22.0%, '어느 정도 기여할 것' 35.3%로 다른 연령대 대비 적극 긍정 응답이 많았다.

 

40대(33.3% vs. 65.0%)와 50대(44.2% vs. 53.8%)에서는 '기여할 것'이라는 응답보다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념성향에 따라 결과가 달랐다. 진보층의 10명 중 8명 정도인 81.4%는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전혀 기여하지 못할 것' 60.0%, '별로 기여하지 못할 것' 21.4%로 전직 대통령 사면이 국민 통합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는 적극 부정 응답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보수층(기여함 48.1% vs. 기여 못 함 50.1%)과 중도층(46.9% vs. 49.2%)에서는 두 의견이 팽팽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8일 전국 만 18세 이상 6,753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 7.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