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지금 '코로나19'의 엄중한 상황을 헤쳐 가는 힘도 4·19정신에 기반한 자율적 시민의식에서 비롯됐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0주년 4·19혁명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에서 이같이 말하며 "우리가 억압 속에서 지켜낸 민주주의, 우리가 눈물 속에서 슬픔을 나누며 키워온 연대와 협력이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계의 모범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자랑스럽다"라고 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4·19혁명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코로나19와 경제 위기 극복 과정에서의 민주주의의 가치로서 연대와 협력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IMF는 지금의 경제 상황을 1920~30년대의 세계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 침체로 진단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라며 "IMF는 한국도 올해 마이너스 1.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우리는 바이러스뿐 아니라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 상황을 함께 이겨내야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핵심은 일자리를 지켜내는 것"이라며 "정부는 경제를 살리고 국민의 삶을 지키는 데 총력을 다할 것이다. 하지만 엄중한 세계적 경제위기 속에서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경제 살리기에도 국민의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일자리 지키기에 노·사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정부는 노사 합의를 통해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했다.
이어 "그와 함께 정부는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을 위해서도 고용 안전망과 사회 안전망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라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4·19혁명이 추구했던 정치적·시민적 민주주의를 넘어 모든 국민의 삶을 보장하는 실질적 민주주의로 확장하는 것, 그것이 오늘날 우리가 구현해야 할 4·19혁명 정신이라고 믿는다"라며 "우리 국민은 세계인에게 '코로나19'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었고, 동시에 코로나 이후의 사회, 경제적 어려움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서도 주목받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전 세계가 함께 겪게 될 ‘포스트 코로나’의 상황을 우리가 다시 개방성, 투명성, 민주성을 기반으로 한 '연대와 협력'의 힘으로 극복할 수 있다면 세계인에게 큰 용기를 줄 수 있을 것"이라며 "경제, 산업, 교육, 보건, 안전 등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세계적 규범과 표준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통합된 국민의 힘으로 ‘포스트 코로나’의 새로운 일상, 새로운 세계의 질서를 준비하겠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