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메뉴

경제


한경연 ˝탈원전시 전력요금, 2030년 26%, 2040년 33% 인상˝

GDP, 2020~2040년 간 연평균 1.26% 감소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전력요금은 2017년 대비 2030년에 25.8%, 2040년에 33.0% 인상되고, GDP는 연평균 1.26%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8일 한국경제연구원은 '탈원전 정책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정부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의 전환을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정의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정부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전환되면 원전의 비중은 2030년 33.5%에서 23.9%로 줄고, 2040년에는 36.1%에서 15.5%로 줄어드는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2030년 9.8%에서 20.0%로 증가하고, 2040년에 26.5%로 증가할 것으로 가정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원전의 경제성을 과소평가하고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을 과대평가한 결과 그리드 패리티 시점이 2030년경이 됐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정부의 탈원정 정책으로 인한 전력요금 상승률은 발전원별 LCOE(균등화발전비용)의 크기에 상당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LCOE에 대해 3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했다.

LCOE는 사회 및 환경적 비용을 포함한 전력생산 비용을 의미하고, 그리드 패리티는 신재생에너지의 LCOE가 원전의 LCOE보다 낮아지는 시점을 말한다.

 



시나리오 1은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의 전망을 태영광, 육상풍력, 자가용으로 세분화하고, 가중평균 한 값으로 신재생에너지의 LCOE를 재추정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를 세분화만 해도 그리드 패리티가 2035년으로 당초 예상한 것보다 약 4~5년 늘어난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또한 수명을 연정한 원전의 LCOE는 신규 원전의 절반 수준이라는 IEA(국제에너지기구)의 추정을 반영할 경우 그리드 패리티가 2040년 이후로 연장된다고 전망했다.

정부의 탈원전 로드맵에 따라 폐지할 원전 중 신규원전 비중(41.3%)과 노후 원전 비중(58.7%)을 고려해 원전의 LCOE를 재추정한 시나리오 2의 그리드 패리티는 2041년으로, 시나리오 1에 비해 6년이나 늘어날 것으로 보고서는 추정했다.

이와 함께 시나리오 3과 같이 신규원전은 빼고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만을 고려하면 그리드 패리티는 2047년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시나리오 3이 가장 현실성 있는 시나리오라면서 현 정부의 탈원전으로 전력요금은 2030년에 2017년 대비 25.8% 인상되고, 2040년에는 33.0% 인상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탈원전으로 GDP는 기준 시나리오 대비 연평균 1.2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것은 탈원전으로 GDP 성장경로가 낮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성장률 감소로 해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시나리오 1에서 전력요금은 2017년 대비 2020년에 1.9%, 2030년에 5.6% 증가하다가 그리드 패리티 시점을 지나면서 감소, 2040년에 -6.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현실성은 낮다는 것이 보고서의 지적이다.

신규원전을 허용하는 시나리오 2도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거리가 있지만, 전력요금은 2017년 대비 2020년에 3.3%, 2030년에 15.5%, 2040년 14.1%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고, 이에 따라 GDP 성장 겨로도 2040년까지 연평균 0.6%씩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조경연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성을 갖추지 못한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친환경적이고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원전을 성급하게 축소할 때 우리가 치러야 할 사회 및 경제적 비용이 예상보다 크다”며 “중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것이 우리가 가야할 길이 분명하지만,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력의 소비자인 산업계, 가계 등 경제주체들과의 충분한 합의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고려한 중장기 전략을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속옷 저항’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온라인 유출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에서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CCTV 영상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2일 온라인상에서 퍼진 19초짜리 구치소 영상에는 윤 전 대통령이 자리에 앉아 특검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무언가 말하는 장면과 난감해하는 집행관들의 모습도 그대로 포착됐다. 앞서 여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 대한 CCTV 등 영상 기록을 열람한 바 있다.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CCTV 영상 열람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누워 집행을 거부하면서 ‘나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며 “그러면서 변호인을 만나겠다고 하는 등 집행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은 열람 현장에 참석했던 국회 관계자가 영상을 촬영해 유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국회 법사위원 쪽은 영상 촬영 및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측은 영상 유출 경위 파악에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법적 대응 여부를 논의 중이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