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경제


올해 대졸 신입직 평균 연봉…대기업 4,060만원·중기 2,730만원

연봉 격차 1,330만원…지난해 1,260만원보다 커져

 

올해 대기업 대졸 신입직원의 평균 연봉은 4,000만원대를 나타냈지만, 중소기업은 2,000만원 후반대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잡코리아가 7월26일부터 30일까지 중소기업 242개사, 8월21일부터 22일까지 대기업 154개사를 대상으로 4년제 대학 졸업 신입직의 초임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은 평균 4,060만원이었고, 중소기업은 평균 2,730만원이었다.

 

대기업은 지난해 신입직 평균 연봉 3,950만원에 비해 2.6% 인상됐지만, 중소기업은 지난해 신입직 평균 연봉 2,690만원보다 1.2% 오르는 데 그쳤다.

 

이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졸 신입직의 평균 연봉 격차는 지난해 1,260만원에서 1,330만원으로 커졌다.

 

대기업 대졸 신입직의 평균 연봉은 ‘식음료·외식’ 업계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4,000만원을 넘었다.

 

대졸 신입직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대기업 업종은 ‘기계철강’으로, 평균 4,630만원에 달했다.

 

이어 ▲금융 4,500만원 ▲건설업 4,380만원 ▲석유화학·에너지 4,160만원 ▲자동차·운수업 4,150만원 순이었다.

 

반면, 식음료·외식업은 3,560만원으로, 3,000만원대에 머무르며 대기업 중에서는 신입직 초임 수준이 가장 낮았다.

 

한편, 잡코리아는 이번 조사에서 기본 상여금 외에 인센티브 등은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민변·시민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등 정부 차원 TF 구성해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원인규명 국민권익위 결과 발표 및 환경오염 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낙동강 1300리 주민 집단 손해배상청구’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 석포제련소 TF와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는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 1,300리를 병들게 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법 행위와 환경 파괴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며 “오염의 진실을 바로잡고 피해 주민들의 건강권과 환경권율 회복하며,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5년 3월, 낙동강 1300리 지역의 주민들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7월 7일, 권익위는 해당 민원에 대해 공식 의결했다”고 전했다. 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 장관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