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통계청, 지난해 가구당 평균 4천676만원 벌었다

지난해 가구당 평균소득이 4676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4일 우리나라 가구의 경제상황 등을 담은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가구의 평균 소득은 4676만원으로 전년대비 4.4% 증가했다. 이중 근로소득은 3026만원(64.7%), 사업소득은 1170만원(25.0%), 재산소득은 196만원(4.2%)이었으며, 전체 소득 중 5분위 소득점유율은 46.3%로 전년대비 0.2%p 감소했다. 공적 이전소득은 정부지원에 따라 1분위(245만원), 2분위(219만원), 3분위(220만원)에서 평균(210만원)보다 높았다.

 

가구당 소득은 1000만원 미만 12.8%, 1000~3000만원은 25.5%, 3000~5000만원은 25.6%, 5000~7000만원은 15.9%, 7000~1억원은 12.0%, 1억원 이상은 8.1%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1000만원 미만인 가구는 1인가구 46.7%, 조손가구 30.8%, 노인가구 59.6%, 장애인가구는 27.9%로 나타났다.

 

2013년 평균 소비지출은 2307만원으로 전년대비 0.2% 증가했으며, 평균 비소비지출은 844만원으로 전년대비 1.9% 증가했다. 이중 식료품 구입에 633만원(27.4%)을 지출해 교육비(334만원 14.5%), 주거비(303만원 13.1%)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소비지출로는 공적연금·사회보험료(274만원 32.5%), 세금(206만원 24.5%), 이자비용(183만원 21.6%) 등보다 많았다.

 

2013년 기준 빈곤율은 시장소득 기준 18.9%지만, 처분가능소득 기준은 16.4%로 나타나 정부 정책효과에 의해 2.5%p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원수가 증가할수록 빈곤율은 감소(1인 가구, 51.8% 4인 이상 가구, 8.4%)했으며, 취업자수가 증가할수록 빈곤율은 감소(취업자 0인 가구, 71.5%) 취업자 3인 이상 가구, 3.4%)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층을 보면 아동연령층(18세 미만) 빈곤율은 11.8%, 근로연령층(18~65)11.8%, 은퇴연령층(66세 이상)49.7%로 나타났다.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66.2세지만, 실제 은퇴 연령은 61.3세로 나타났다. 또한 20143월말 현재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는 14.0%로 생활비 충당정도는 여유 있는 가구6.7%인 반면, ‘부족한 가구42.2%, ‘매우 부족한 가구20.9%였다.

 

20143월말 현재 가구의 평균 자산은 33364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1% 증가했으며, 금융자산(26.8%, 8931만원)보다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73.2%, 24433만원)이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연령대는 50대가, 종사상 지위는 자영업자 가구의 자산이 가장 많았다. 소득 5분위가구 자산은 전체의 45.3%, 순자산 5분위가구 자산은 전체의 58.9%를 차지했다. 가구 소득 증가 및 여유자금 발생 시 주된 운용 방법으로는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47.0%, ‘부동산 구입23.4%, ‘부채 상환23.4%순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자산 투자의 주된 목적은 노후대책’(53.3%), ‘주택관련’(17.6%), ‘부채상환’(9.2%) 순으로 나타났다.

 

부채는 20143월말 현재 가구당 평균 5994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3% 증가했다. 부채는 금융부채(68.3%, 4095만원)가 임대보증금(31.7%, 1900만원)보다 많았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연령대는 ‘50’, 종사상 지위는 자영업자가 부채 역시 가장 많았다. 소득 5분위가구 부채는 전체의 46.5%, 순자산 5분위가구 부채는 전체의 47.0%를 점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 중 원리금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71.8%로 전년에 비해 1.6%p 증가했으며,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가계부채를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응답한 가구는 6.9%로 전년에 비해 1.3%p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2.0%p 감소한 106.8%이며,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2.4%p 늘어난 21.5%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