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국제


트럼프, 현대차·삼성에 "땡큐"…대미 투자 기업 CEO 줄줄이 호명

백악관 행사에 참석한 글로벌기업 거명하며 "관세 때문" 자화자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미국 투자’ 행사에서 현대차, 삼성 등 주요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를 공개 거명하며 잇따라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추진해온 관세 정책이 대미 투자 유치에 핵심적 역할을 했다고 강조하며 경제 성과를 부각했다.

 

이날 행사에는 현대차, 삼성, 엔비디아, 도요타, GE, 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기업 CEO 20여 명이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을 하나하나 호명해 자리에서 일으키며 투자 계획을 소개하고 “땡큐(Thank you)”, “어메이징(Amazing)”, “뷰티풀(Beautiful)” 등의 감탄사를 쏟아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 중 한국 기업인 현대차와 삼성전자를 직접 언급했다. 그는 “회의 직전 삼성이 관세 때문에 미국에 대규모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는 소식을 들었다”며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삼성조차도 아주 큰 공장을 건설할 것이라고 아침에 들었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는 같은 날 각료회의에서도 삼성의 미국 공장 건설 계획을 언급한 바 있다.

 

이어 현대차의 호세 무뇨스 글로벌 COO를 가장 먼저 호명하며 “땡큐”를 연발했다. 트럼프는 “현대차는 지난달 백악관에서 21억달러(약 2조9천억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발표했고, 그 일환으로 루이지애나주에 제철소를 건설해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에 무뇨스 사장은 청중석에서 일어나 손을 흔들며 화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사에서 “오늘 이 방에 모인 기업들만 해도 2조달러가 넘는 신규 대미 투자를 발표했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8조달러에 달한다”며 “이는 미국 역사상 전례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이 지난해 11월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 관세와 인센티브 정책 덕분에 이런 투자가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새로운 공장과 일자리는 미국 경제가 강하다는 신호”라며 “우리는 이런 광경을 예전에는 보지 못했다”고 자평했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는 “미국에서 제조업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었던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과 정책 덕분”이라며 “엔비디아는 기술의 미래를 미국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손정의(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도 연단에 올라 “오픈AI, 오라클과 함께 발표한 5천억달러(약 710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라며 “미국이 AI 리더십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행사에 앞서 청중석 앞줄에 앉은 각료들을 가리키며 “왜 그 자리에 각료들이 있는가. 그 자리는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줘야 한다. 우리는 그들의 돈이 필요하다”고 농을 던지기도 했다.

 

이어 환경보호국(EPA)의 리 젤딘 청장을 향해 “이 자리에 있는 기업들의 공장 허가를 신속히 내줘야 한다”며 “우리는 예전처럼 허가를 가지고 시간 끄는 게임을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도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하며 “수많은 제약회사가 미국으로 들어올 것이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관세 장벽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에 대해서도 “파월 의장은 금리를 내려야 한다. 나는 그보다 금리를 더 잘 이해한다”며 인하 압박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1분기 GDP 역성장에 대해서는 “수입, 재고, 정부 지출 등 왜곡 요인을 제외하면 핵심 GDP는 3% 증가했다”며 “역성장은 바이든 정부 탓”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이제 막 정권을 인수했으며,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감세안을 곧 통과시킬 것”이라고 예고했다.

 

 



배너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