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금 보유 증가액은 52억달러(36억→88억달러)로 외환 보유 상위 10개국 중 2번째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 보유액 시가 기준 평가시, 우리나라 외환보유 순위 독일에게 밀려 9 위에서 10 위로, 최하위 수준으로 내려앉을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비례대표, 기획재정위원회)이 한국은행에서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4 년 기준 , 시가로 환산한 우리나라 금 보유액은 약 88 억 달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보유액 10위권 국가 중 홍콩(1억달러 증가)에 이어 2번째로 증가폭이 적다.
반면, 외환보유액 상위 5개국은 한국 대비 금 보유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 위 중국은 1,912억달러(1,311억 달러 증가), 2위 일본 710억달러(449억달러 증가), 3 위 스위스 872억달러(518억달러 증가), 4위 인도 735억달러(545억달러 증가), 5위 러시아 1,751억달러 (1,269억달러 증가)로 한국과 최대 25배에서 최소10배의 금 보유액 차이를 보였다.
특히 우리나라보다 외환보유액 순위가 낮은 독일(10위)의 금 보유액은 2,811억 달러로 '2015년 1,152억달러 대비 1,659억달러나 증가했다. 외환보유액 내 금 보유액은 매입 당시 가격으로 평가하는데 만약 외환보유액 내 금 보유액을 시가 기준으로 평가할 경우,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순위는 독일에 밀려 10위로 내려앉는다.
한국은행은 "금은 일반적으로 미국 국채 등에 비해 유동성이 낮은 데다 가격 변동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외환보유액 감소세, 국내 외환시장 상황 등을 감안할 때 외환보유액을 보다 유동성이 높은 자산을 중심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며 금 보유 확대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임광현 의원은 “대외 변수로 인한 경제 충격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는 외환보유액의 절대적 규모 뿐만이 아니라 자산 구성의 다양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며 “외환보유 운용 원칙 하에, 외환 구성의 다양성·수익성 측면에서 국제금융시장 상황 및 금 투자 여건 등을 보아가며 적정 수준의 금 확보량을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고 한국은행에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