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산업


'파리패션위크' 속 '3D프린팅 오브제'…글룩, 창작과 제조를 잇다

고정밀 SLA 출력 기반 오브제 구현…브랜드 콘셉트 반영한 디자인 실현

 

국내 최대 3D프린팅 서비스 기업 글룩(대표 홍재옥)이 디자인부터 제조까지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3D프린팅 기술 적용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 브랜드 메시지를 시각화할 수 있는 정밀 출력 역량이 주목받으면서, 실제 프로젝트 기반 협업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최근 글룩은 2025 S/S 파리패션위크에서 공개된 솔리드옴므×코오롱스포츠 협업 컬렉션의 오브제 ‘하이퍼 하이킹 스틱’을 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도시와 자연의 경계'라는 콘셉트를 반영해, 곡선 중심의 디자인, 가벼운 구조, 독특한 표면 질감 등 고난이도의 설계 요구가 반영된 프로젝트로 완성도를 높였다. 

 

 

글룩은 SLA 방식의 고정밀 3D프린팅 기술과 맞춤형 후처리 공정을 통해 해당 오브제를 구현했다. 산업용 ABS-Like 소재와 내부 중공 구조를 통해 기존 금속 대비 약 65% 경량화에 성공하면서, 내구성과 표현력을 동시에 확보했다.

 

이 프로젝트는 복잡한 디자인 언어를 출력 기술로 정밀하게 실현한 사례로, 3D프린팅이 단순한 제작을 넘어 창작의 실현 도구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글룩은 이 밖에도 제품 디자이너, 전시·공간 연출 전문가들과 함께 다양한 브랜드 오브제 및 구조물 제작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기술 활용 범위는 패션과 럭셔리 리테일부터 문화 공간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일부 결과물은 상반기 중 순차 공개될 예정이다.

 

산업 현장에서도 기술 접목은 활발하다. 현대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되는 커스터마이즈 지그 부품, 한국타이어와의 협업으로 진행된 마스터모델 출력 등 고정밀성과 반복성이 중요한 프로젝트에 대응하고 있다. 서울대병원과는 심장 시뮬레이터 개발용 데이터 출력을 진행하며 의료 분야에서도 기술 신뢰도를 입증했다.

 

문화·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도 글룩은 브랜드와 세계관을 실물로 구현하는 데 3D프린팅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리움미술관 및 국립박물관문화재단과 함께 제작한 백제금동대향로 굿즈는 고유한 유산의 디테일을 충실히 재현했고, 블리자드-포르쉐 협업으로 제작된 ‘오버워치2 D.Va 메카’는 실물 조형물로 완성도 높은 몰입감을 선사했다.

 

홍재옥 글룩 대표는 “3D프린팅은 브랜드의 감각과 철학을 구현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구”라며 “기술과 창작 사이에서 유연하게 협업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더 많은 가능성을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글룩은 경기도 파주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 국내외 1만여 고객사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 평균 15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무차별식 케이블카 건설 중단하고 국립공원 지켜야"
진보당 정혜경 의원은 지난 7일 전국 케이블카건설중단과 녹색전환 연대(이하 전국연대)와 함께 기자회견 및 정책간담회를 열고 케이블카 건설을 환경파괴, 예산낭비로 규정하고 건설 중단을 촉구했다. 이날 11개 케이블카 반대 지역대책위원회가 모여 출범한 전국연대는 사업비가 확인된 케이블카 10곳의 총사업비가 약 1조 원에 이르며, 사업비가 확인되지 않은 곳까지 포함하면, 총 사업비가 1조 5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케이블카 사업 대다수가 적자경영 상태임에도 지자체가 예산을 낭비하며 케이블카를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으로 포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 4월 4일 환경부가 국립공원위원회에 ‘국립공원 케이블카 규제 완화’ 방침을 담은 ‘국립공원전문위원회 구성, 운영방안’ 보고서를 제출한 사실이 알려지는 등 케이블카 사업 추진이 전국의 지자체에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국연대는 ▲케이블카 백지화 공약화 ▲전국 케이블카 건설 중단 및 검증위원회 구성 ▲환경영향평가 제도개선 ▲지방재정투자심사 심사기준 강화 ▲타당성 보고서 , 환경영향평가서, 전문기관 검토의견서 등 자료공개 의무화 ▲자연공원 시행령 및 시행규칙 규정 개정 요구 등을 요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