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제


배당금 증가율 1위 SK하이닉스...'부호 1위' 이재용 3465억 수령

리더스인덱스, 지난해 560개 기업 배당금 현황 분석
배당금 1조이상 지급 기업 삼성전자·현대차 등 총 7곳

 

지난해 국내 주요 기업의 배당금 총액이 전년(36조 8631억 원) 대비 3조 8458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 증가율 1위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였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국내에서 가장 많은 배당금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지난 14일까지 현금 및 현물배당을 발표한 560개 기업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4년 배당금 총액은 40조 7090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약 10.4% 상승한 수치다.

 

560개 기업 가운데 285개 기업(51%)이 전년 대비 배당금을 늘렸고 94개 기업(16.7%)은 지난해와 동일한 금액을 유지했으며 181개 기업(32.3%)은 배당금을 줄였다. 또한 2023년에는 배당을 하지 않았지만 2024년부터 배당을 실시한 기업은 54개 사였다.

 

개인별 배당으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가장 많았다. 이 회장은 지난해 3465억 원을 배당받아 2023년(3237억 원)보다 228억 원이 늘었다. 이 회장의 뒤를 이어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전년 대비 131억원 많은 1892억 원을, 3위는 정 명예회장의 아들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183억 원 증가한 1747억 원을 받았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은 전년에 비해 128억 원 감소한 1483억 원의 배당을 받아 4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모친인 홍라희 전 리움 관장은 전년 대비 276억 원 감소한 1467억 원을 배당받았다.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도 82억 원 줄어든 1145억 원을 수령했다. 이들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일부 지분을 매각해 배당금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7위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으로 전년(650억 원)에 비해 40% 증가한 910억 원을 배당받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전년과 같은 778억 원으로 8위에,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은 전년 대비 21억 원 줄어든 756억 원을 배당받아 9위를 기록했다. 10위는 김남호 DB그룹 회장으로 전년보다 95억 원 증가한 439억 원을 배당받았다.

 

배당금을 1조 원 이상 지급한 기업은 총 7곳이었다. 삼성전자가 가장 많은 9조 8107억 원이었으며, 현대자동차가 3조 1478억 원, 기아 2조 5590억 원, SK하이닉스 1조 5195억 원, KB금융 1조 2003억 원, 신한지주 1조 880억 원, 하나금융지주 1조 159억 원 순이었다.

 

배당금이 가장 크게 증가한 기업은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8254억 원보다 84.1%(6941억 원) 증가한 금액을 배당했다. 배당금 증가 2위는 기아다. 반면, 배당금을 가장 크게 줄인 기업은 메리츠금융지주는 2023년 4483억 원에서 지난해 2400억 원으로 46.5% 감소했다.

 

리더스인덱스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가 배당금을 2배 가까이 늘리며 증가세를 주도한 가운데, 정부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에 발맞춘 기업들의 배당 확대 전략도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진실 외면했다”… 12.3 언론인연대, '언론책임 자성선언' 발표
지난해 계엄 내란과 5월 1일 사법부 판단에 언론계 내부에서 자성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12.3 언론인연대’는 7일 발표한 선언문에서 “언론인이라면 12월 3일 계엄형 내란과 5월 1일 사법 쿠데타에 분노했어야 한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연대는 이날 선언문을 통해 지난해 12월 3일 벌어진 국가권력의 통제 강화 조치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대한 대법원의 유죄 취지 파기환송 판결이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국민의 정치적 기본권을 침해한 헌정 질서 붕괴”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사법부가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정치적 중대사안에 개입했고, 조희대 대법원장이 주도한 파기환송 판결은 피선거권과 투표권을 구조적으로 침해했다”고 지적하며 이를 ‘5월 1일 사법 쿠데타’로 명명했다. 또한, “12월 3일에는 계엄형 내란이 법과 제도의 외피를 입고 자행됐지만, 언론은 이 모든 상황에 침묵으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또 연대는 언론의 침묵을 “중립이 아닌 책임 회피”라고 규정했다. “침묵은 경계하지 않겠다는 선언이며, 무너지는 질서 앞에서의 외면은 결국 조용한 공범이 되는 길”이라며 “언론의 사명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진실을 해석하고 권력을 감시하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