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고양특례시 재난위험 높은 '제3종 시설물' 961곳 실태조사

경기 고양특례시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오는 3월부터 제3종 시설물 지정·관리를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다중이용시설 등 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제1·2종시설물 외의 시설물을 제3종시설물로 지정해 관리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시는 매년 일정 기간·규모 이상의 시설물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 조사 대상은 사용승인 후 10년 이상 경과한 교량·육교 등 일정 규모 이상 토목시설물 37곳과 15년 이상 경과한 공동주택(5층이상 15층 이하 아파트), 종교시설, 의료시설 및 판매시설 등 일정 규모 이상 건축물 961곳이다. 

 

시는 전문성 확보와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업체를 통해 실태조사를 추진한다. 조사 결과에 따라 제3종시설물로 지정·고시하고 주기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시는 11월 말까지 제3종시설물에 대한 지정·고시를 완료하고 올 연말까지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MS)에 조사 결과를 등록할 예정이다.

 

고양특례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노후 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재해위험 요인을 파악해 사전 제거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라며 “시민안전에 필수적인 시설물의 안전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광주 금호타이어 화재로 공장 절반 불 타…수출에 지장
17일 오전 광주 광산구 송정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해 공장 절반 이상이 불에 타고 타이어 생산이 전면 중단됐다. 인명 피해도 발생한 가운데, 완전 진화까지 수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오전 7시 11분께 신고가 접수된 화재는 타이어 생산의 초기 단계인 정련 공정(생고무·화학약품 혼합 공정)에서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고무 예열 장치에서 불꽃이 발생하며 인근 가연성 물질에 불이 옮겨붙었고, 빠르게 확산됐다. 직원들이 초기 진화를 시도했으나 화세를 막지 못했고, 일부 건물에서는 붕괴 조짐까지 나타나며 진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까지 20대 직원 1명(다리 골절), 50대 소방관(화상), 30대 소방관(두부 외상) 등 총 3명이 부상을 입었다. 화재가 발생한 광주공장은 서쪽(2공장)과 남쪽(1공장)으로 구분되며, 현재는 서쪽 공장의 약 70% 이상이 소실됐다.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국가소방동원령이 발령됐고, 광주 전역 소방 인력과 장비가 투입됐다. 산림청 헬기까지 동원돼 인근 강에서 물을 퍼 날라 진화 중이다. 화재로 인한 타이어 생산 중단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호타이어는 “진화 후 피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