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中 인공지능 '딥시크' 부상에 AI 업계 충격... 검열·보안문제 의혹도

中 AI 딥시크 충격에 엔비디아 시총 한때 850조원 증발
'딥시크' 'V3' 개발, 메타 '라마 3'의 10분의 1에 성능은 ↑
중국·대만 등 민감한 질문은 외면, 보안관련 문제제기도

 

저비용 고성능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한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부상으로 미국 빅테크와 정부가 충격에 휩싸였다.

 

2023년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는 지난 20일 복잡한 추론 문제에 특화한 AI 모델 'R1'을 새로 선보였다. 이 모델은 2024년 AIME(미국 수학경시대회) 벤치마크에서 오픈AI의 'o1'을 근소하게 우위를 차지하며 주목받았다.

 

또 ‘딥시크’가 지난해 12월 출시한 거대언어모델(LLM) 'V3'의 개발 비용이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로 메타의 '라마(Llama) 3' 모델 훈련에 투입된 비용의 10분의 1에 불과해 중국의 '저비용 고성능' 모델이 미·중간 AI패권 경쟁을 격화시킬 것이란 전망도 불거졌다. 

 

'딥시크' 충격은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관련주들의 폭락을 촉발시켰다. 엔비디아 주가는 27일(현지시간) 17% 가까이 폭락하며 하루만에 시가총액 약 850조원이 증발하기도 했다. 

 

28일 미국 뉴욕타임스(NYT) 에 따르면 딥시크의 ‘추론 AI’ 모델이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챗GPT의 최신 모델보다 앞서는 성적을 받았다. 딥시크 R1은 미국 수학경시대회인 AIME 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로 79.2%를 기록한 오픈AI의 추론모델 o1을 앞질렀다.

 

500개 수학 문제 테스트에서도 97.3%의 정확대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코딩과 영어 언어 부문에서도 o1, 메타의 AI(라마 3.1)보다 나은 성능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딥시크가 중국에 민감한 질문엔 자체 검열을 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8일(현지시간) '딥시크'에 대해 '천안문 광장과 대만을 묻기 전까지는 잘 작동한다'라는 제목으로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과 밀접한 주제에는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딥시크에 '1989년 6월 4일 톈안먼광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나', '탱크맨과 관련해 설명해 달라', '2022년 후진타오 전 중국 국가주석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 '우산혁명은 무엇이었나' 등을 입력하면 "죄송하다. 아직 이런 유형의 질문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모르겠다. 대신 수학, 코딩, 논리 문제에 관해 이야기해 보자"는 응답을 내놓았다.

 

가디언은 "딥시크는 특정 정치적 사건과 관련한 질문에는 응답을 제공하지 않았다"며 "국제적으로 사용자에게 인기가 있는데도 이 애플리케이션은 중국과 중국 정부와 관련한 민감한 질문에는 답변을 검열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와 더불어 보안문제로 미국 해군이 '딥시크'가 개발한 생성형 AI 챗봇 모델을 사용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지난 28일(현지시각) 미국 경제매체 CNBC 보도에 따르면 미 해군은 최근 내부 구성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딥시크의 AI를 어떤 형태로든 사용하지 말라"면서 "모델의 출처·사용과 관련된 보안·윤리적 우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 해군 대변인은 해군정보국의 생성형 AI 정책과 관련된 것이라고 부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KPGA노동조합 “직장 내 괴롭힘·보복성 징계, 조속한 해결 촉구”
손솔 진보당 의원과 민주노총 서비스일반노동조합 KPGA지회는 15일 “한국프로골프협회 직장 내 괴롭힘 및 보복성 징계 조속한 해결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손솔 의원과 민주노총 서비스일반노동조합 KPGA 지회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말, 스포츠윤리센터에 KPGA 고위 임원의 직원을 향한 상습적인 폭언과 욕설, 각서 작성 강요, 노동조합 탈퇴를 종용 등의 인권 침해 행위에 대한 신고가 접수됐다”고 전했다. 한편, 스포츠윤리센터는 신고 내용이 사실이라고 인정하고 가해자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지만, KPGA는 가해자가 부당하게 받아낸 시말서를 근거로 최초 신고자에게 견책이라는 징계 처분을 했다. 이에 손솔 의원은 “법률상 보호 받아야 할 노동자의 권리가 조직 내 권력 앞에 무력하게 침해당할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 “KPGA가 ‘스포츠 업계’는 폐쇄적이고 바뀌기 어려운 곳'이라는 편견을 깨고 안전한 일터를 위한 조직 문화를 선도하는 곳이 되길 바란다”며 사건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견책 처분 받은 최초 신고 피해직원인 이승환 씨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내부 신고 후 사건이 공론화되었고 지난 24년 12월 19일 J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