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9.1℃
  • 맑음강릉 10.3℃
  • 흐림서울 10.4℃
  • 맑음대전 8.9℃
  • 맑음대구 10.2℃
  • 맑음울산 10.2℃
  • 맑음광주 9.9℃
  • 맑음부산 11.1℃
  • 맑음고창 8.2℃
  • 맑음제주 12.4℃
  • 구름많음강화 9.5℃
  • 맑음보은 7.7℃
  • 맑음금산 8.5℃
  • 맑음강진군 9.5℃
  • 맑음경주시 10.4℃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메뉴

경제


韓, 중국 시장에서 자동차·스마트폰 이어 화장품 수출도 하락세

 

한국의 소비재 수출이 중국 시장에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자동차와 스마트폰에 이어 화장품 수출도 줄어드는 상황이다.

 

27일 한국무역협회 무역 통계 시스템 'K-stat'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대중국 소비재 수출액은 61억5000만달러로 전년보다 6.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중 소비재 수출은 2021년 88억1000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2년 72억9000만 달러, 2023년 66억달러, 2024년 61억5000만달러로 이어지며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대중국 소비재 수출 감소는 전체 소비재 수출이 지난해 3.1%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전체 수출에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4.6%에 불과했으며, 이는 전 세계 대상 수출에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인 14.8%와 비교할 때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이러한 수치는 한국 소비재 상품이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비재 수출 부진 속에서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중간재에 더욱 의존하는 구조로 굳어지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 중 85.9%는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부품 등 중간재가 차지했다.

 

특히, 한국의 전체 소비재 중 수출 규모가 가장 큰 자동차는 중국 시장에서 지속적인 부진을 겪고 있다. 현대차의 경우, 2023년 중국 판매량은 24만9000대로, 2016년의 정점에 비해 5분의 1 수준에 그쳤다.

 

2013년까지 중국 시장 점유율 20%대로 1위이던 삼성전자 스마트폰도 화웨이·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에 밀려나 중국 시장에서 존재감이 약해진 상황이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또한 2013년까지 중국 시장 점유율 20%대로 1위였으나, 현재는 화웨이와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에 밀려 존재감이 약해진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대중 수출 효자 소비재였던 화장품 수출도 중국 소비자들의 국산 선호 증가 흐름 속에서 예전만 못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중 화장품 수출액은 2021년 49억 달러를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지난해에는 25억달러까지 떨어졌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