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메뉴

정치


‘지방세 과오납’ 환급액 5년간 770억... 지급 이자만 약 17억

정춘생, “지방세 과오납 피해는 국민 몫, 행안부 특단의 대책 강구 필요”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세를 잘못 걷어 다시 돌려주는 지방세 과오납 환급액은 최근 5년간 약 770억 원으로 확인됐다. 과오납 지방세에 대한 이자는 무려 약 17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춘생 의원실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지방세 과오납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 17개 시도의 5년간 과오납 지방세 환급액이 769억 4840만 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과오납 환급액 건수는 39만 1022건이다.

.

통상적으로 과오납은 행정상의 실수로 발생한다. 과세자료 및 세율표준 착오, 부과 착오, 납세자의 이중부과 등이 주된 원인이다.

 

17개 시도에서 잘못 걷은 세금을 환급해주기 위해 5년간 지급한 이자는 16억 9405만 원이다. 연평균 과오납 지방세 환급액은 3억 3881만 원으로, 국민의 혈세가 행정상의 실수로 낭비되는 것이다.

 

지자체별로 보면 최근 5년간 지방세 과오납 문제는 경기도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의 과오납 지방세 환급액은 261억 4642만 원으로 전국 과오납 세금 환급액의 3분의 1가량인 34%를 차지했다.

 

또한, 동기간 경기도의 지방세 과오납 건수는 10만 8178건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았고 경상북도가 6만 6207건으로 2위, 서울특별시가 5만 3141건으로 3위를 기록했다.

 

다만 지방세 과오납 환급 건수와 환급액은 감소 중이다. 2019년 9만 610건이던 지방세 환급 건수는 2020년 8만 9908건, 2021년 7만 5704건, 2022년 7만 6704건, 2023년 5만 9650건으로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환급액은 2019년 209억 4472만 원에 달했으나, 2020년 167억 6276만 원, 2021년 115억 618만 원, 2022년 143만 5848만 원, 2023년 133억 7625만 원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정춘생 의원은 “지방세 과오납의 원인은 행정안전부의 징수 오류 때문이다”라며 “지방세 과오납으로 인한 피해는 납세자인 국민의 몫인 만큼 정부는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장동 비리’ 유동규·김만배...1심서 징역 8년 법정 구속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된 민간업자들이 1심에서 중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조형우 부장판사)는 31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과 화천대유자산관리(이하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에게 각각 징역 8년을 선고했다. 특경법상 배임이 아닌 형법상의 업무상 배임이 인정됐다. 재판부는 아울러 김 씨에게는 4백28억 165만 원, 유 전 본부장에겐 8억 천만 원의 추징을 명령했다. 또 이들과 함께 활동한 남욱 변호사와 정영학 회계사, 정민용 변호사에게는 징역 4년과 5년, 6년 형을 각각 선고했다. 재판부는 “예상이익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확정이익을 정한 공모 과정을 그대로 체결해 공사로 하여금 정당한 이익을 취득하지 못하게 하고, 나머지 이익을 내정된 사업자들이 독식하게 하는 재산상 위험을 초래했다”며 “위험이 실제 현실화돼 지역주민이나 공공에 돌아갔어야 할 막대한 택지개발 이익이 민간업자들에게 배분됐다”고 했다. 한편, 민간업자들과 유 전 본부장은 대장동 개발 사업과 관련해 화천대유에 유리하도록 공모 지침서를 작성,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의뜰 컨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