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민주, ‘문자논란 인요한’ 향해 “권력층, 이래서 의료붕괴 상관 없나”

“인 최고위원, ‘수술 잘 해달라’는 부탁 뿐, 수술 빨리 해달라는 취지 아니었다 해명”

 

인요한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문자 메시지가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5일 “‘인요한 문자’를 보니 정신이 번쩍 듭니다. ‘빽’ 있는 권력층은 의료붕괴 상관 없다는 뜻 아닌가”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피해 사례가 생겨나고 있는데도 정부, 여당이 왜 남탓과 방관으로 일관해 왔는지를 분명하게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부탁한 환자 지금 수술 중’. 속칭 ‘빽’ 있는 권력자들에게는 의료체계가 붕괴 되든 말든, 응급실 기능이 망가지든 말든 상관이 없겠다는 인식을 짧은 문자 메시지 하나에서 다 읽어낼 수 있었다”고 일갈했다.

 

노 대변인은 “인요한 최고위원은 국민의힘에서 의료개혁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인요한 문자’로 인해 윤석열 정부와 여당이 말하는 의료개혁의 실체가 실상은 ‘의료개악’임이 재확인 됐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인 최고위원은 ‘수술 잘 해달라’는 부탁을 했을 뿐, 수술을 빨리 받게 해달라는 취지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면서 “공개된 문자에 ‘조금 늦었으면’이라는 문구가 담겨 있는 것에 비춰볼 때 납득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사람이 죽어나가는 의료붕괴 사태가 현재 진행형이고 악화일로에 있는데도 ‘비상 진료체계가 원활하게 가동되고 있다’고 국민을 속였다”며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 보건복지부는 ‘왜 의료붕괴라는 표현을 써서 불안을 가중시키냐’고 오히려 국민을 타박한다”고 했다.

 

그는 “추경호 원대대표은 오늘 교섭단체 연설에서 ‘정부의 의료개혁은 반드시 이뤄 내겠다’는 말로 오히려 힘을 실었다”며 “정부를 향해 고작한다는 말이 ‘빈틈없이 대응하라’, ‘만전을 기해달라’ 정도였다”고 전했다.

 

노 대변인은 “현실이 이러하니 ‘인요한 문자’는 터질 것이 터진 셈”이라면서 “국민의힘은 먹히지도 않을 변명에 시간 낭비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윤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 정신 차리고 의료붕괴 현실을 직시하라고 질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인요한 문자’에 등장하는 환자께서 지금 위중한 상태라고 한다. 부디 회복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