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


주담대 금리 9개월 연속 하락…2년 9개월 만에 최저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4.55%로 전월 대비 0.16%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내림세다. 

 

가계대출 금리는 4.06%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가계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담대의 금리가 전월보다 0.21%포인트 내린 3.5%를 기록하며 영행을 미쳤다. 주담대 금리는 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고정형은 3.48%, 변동형은 4.12%로 각각 전월보다 0.21%p와 –0.08%p 하락했다.

 

전세자금 대출 금리는 3.78%로 전달보다 0.06%p 내리며 8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 7월에는 일반 신용대출 금리도 6월보다 0.26%p 하락해 5.78%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4.78%로 전월 대비 0.10%포인트 하락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금리가 각각 0.11%포인트, 0.10%포인트 내린 4.89%, 4.69%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경우 은행채 금리 하락 등 조달비용이 줄어든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고정금리 가계대출(신규취급액 기준)의 비중은 64.2%에서 72.5%로 8.3%포인트 늘었다.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6월 94.9%에서 지난달 96.4%로 1.5%포인트 늘었다. 변동형 주담대 지표금리인 코픽스 금리보다 고정형 주담대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더 크게 하락한 영향이다.

 

수신금리도 내림세다.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 수신금리가 3.41%로 전월 대비 0.1%p 하락했다. 이 중 순수저축성예금금리(3.41%)가 정기예금(-0.09%p)을 중심으로 0.09%p 떨어졌다. 시장형금융상품(3.41%) 또한 금융채(-0.2%p)와 CD(-0.08%p) 등을 중심으로 0.17%p 떨어졌다.

 

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인 예대금리 차는 1.14%포인트로 6월(1.20%포인트)보다 0.06%포인트 줄었다. 예대금리차는 지난 4월 이후 4개월 연속 축소되고 있다. 잔액 기준으로는 2.31%포인트로 0.05%포인트 줄었다.

 

은행 외 금융기관들의 예금 금리(1년 만기 정기 예금·예탁금 기준)는 신용협동조합(3.65%), 상호금융(3.50%), 새마을금고(3.68%)에서 각 0.05%포인트, 0.02%포인트, 0.05%포인트 하락했다. 상호저축은행 금리(3.67%)에는 변화가 없었다.

 

반면 대출금리의 경우 상호저축은행(11.72%), 새마을금고(5.51%)는 각각 0.32%포인트, 0.18%포인트 오른 반면 신용협동조합(5.63%)은 0.03%포인트 내렸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변·시민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등 정부 차원 TF 구성해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원인규명 국민권익위 결과 발표 및 환경오염 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낙동강 1300리 주민 집단 손해배상청구’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 석포제련소 TF와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는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 1,300리를 병들게 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법 행위와 환경 파괴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며 “오염의 진실을 바로잡고 피해 주민들의 건강권과 환경권율 회복하며,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5년 3월, 낙동강 1300리 지역의 주민들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7월 7일, 권익위는 해당 민원에 대해 공식 의결했다”고 전했다. 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 장관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