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메뉴

경제


마운트곡스 악재에 비트코인 급락... 일시적 현상일까

美 전문가들도 향후 가격 전망 엇갈려
가상자산 현물 ETF 국내 도입 우려 커

 

비트코인 가격이 한때 6만달러(약 8300만원) 수준까지 급락했다.

 

25일 가상자산(암호화폐) 비트코인 가격이 일본 '마운트곡스발 매도세' 우려와 미국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자금 유출 확대로 하루 만에 8300만원선까지 하락했지만 4.4%대까지 회복했다.

 

이날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오전 10시 10분 현재,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4.37% 하락한 6만324달러(약 836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비트코인은 한때 6%대 급락한 5만8000달러(약 8048만원)선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는 2014년 해킹 피해로 파산한 당시 세계 1위 암호화폐 거래소 마운트곡스가 7월부터 본격적인 상환 절차에 착수한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국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자금 유출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 ETF는 지난 10일 이후 순유출세로 전환, 11억달러(약 1조5292억원) 이상의 순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상자산 자산운용사 코인셰어즈에 따르면, 가상자산 투자 상품에서의 자금 유출세도 2주 연속 이어지고 있다. 지난주에는 올 1월 미국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이후 전 세계 거래량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월가에서 차트 분석 달인으로 불리는 케이티 스톡턴은 "비트코인 6만 달러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비트코인 가격이 향후 5만 달러 초반까지 밀려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반면에, 일부 가상자산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들은 미국과 홍콩 등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과 가상자산에 유리한 정치적 흐름에 주목하며 올해 하반기에 가상자산이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한국 시장에 비트코인 현물상장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에 투입돼야 할 금융 자본 상당 부분이 가상자산 시장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외의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은 득보다는 실이 클 것”이라며 “가상자산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을 제도권으로 포섭하면 검증된 자산이라는 인식을 심어줘 금융회사의 건전성이 악화되고 시장의 안정을 저해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