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메뉴

경제


‘슈퍼 엔저’ 고착화?... 오르기 전에 사야 하나

 

슈퍼엔저(엔저현상이 더욱 심화된 상태) 현상, 엔화 약세가 올해 고착화되는 분위기다.

 

최근 일본 닛케이 지수가 40,000을 찍으며 이미 전고점(38,915)을 넘어섰고, 지난 4월말 160엔 이후 주춤하던 엔·달러 환율이 다시 159엔을 기록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올해 일본 정부의 추가 개입이나 금리 추가 인상 조치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닛케이 지수가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다 보니,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일본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한 중국 위안화, 태국 밧화 등 신흥국 통화와 비교해서도 엔저 양상이 두드러진다. 올해 이들 통화에 대한 엔화의 절하 폭은 각각 9.60%, 5.12% 수준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를 ‘숨은 엔저’라고 정의했다.

 

일본은행이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한 뒤, 21일 기준 엔·달러 환율이 한때 159엔까지 뚫렸다. 영국·스위스 등 주요국도 숨은 엔저 현상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최근 엔·파운드 환율도 201엔대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2008년 8월 이후 최고치다. 스위스 프랑에 대한 엔화 환율도 1982년 이후 최고치인 178엔대를 기록하며 가치가 크게 떨어졌다.

 

무엇보다, 미국의 금리 인하 결정이 늦어지면서 미국-일본간 금리차가 커지면서 엔화 약세를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일본은행(BOJ)의 시장 개입이 역효과를 불러왔다는 지적도 있다. BOJ는 엔화 약세를 막기 위해 4월과 5월에 걸쳐 9조 7000억 엔을 풀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슈퍼엔저 현상은 일본상품 수출 확대엔 반가운 신호지만, 일본과 수출경쟁을 벌이고 있는 한국은 주력 수출품의 절반 가량이 일본과 경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수출이 영향을 받는다.

 

무역협회는 “엔화 가치가 10% 떨어질 경우, 무역수지는 15억달러 가량 악화된다”며 “반도체, 자동차, 선박, 의류 등 주요 수출품목에 영향을 미치고, 아시아 시장에서 달러화 매입을 부추김으로써 원화 가치 절하를 일으켜 원화의 약세로 이어지게 된다”고 말했다.

 

김형주 LG경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다수의 일본 수출 제조업체가 이미 해외로 이전해, 수출 부품이나 중간재 수입을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보다는 한국 수출시장이 받을 영향력은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준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수출 긍정 전망에도 불구하고, 엔저로 인해 올해 말까지는 국내 증시나 환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일본 중앙정부 부채 이자부담이 내년에는 줄어들고, 미국의 금리 인하 움직임도 올해보다는 빈번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상황은 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섬 주민의 유일한 교통수단 여객선 "운항 중단 없어야"
섬 주민들의 유일한 교통수단인 여객선이 정비나 검사에 들어갈 경우 이를 대체할 예비선박이 없어 섬 주민들이 사실상 ‘고립’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여객선 항로 단절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부터 올해 9월까지 여객선 정비를 이유로 여수와 인천, 통영 등 8개의 지자체에서 총 33건의 여객선 운항 중단이 발생됐다. 이로 인한 누적 운항 중단 일수는 405일에 달했다. 여객선 본선이 정비나 검사에 들어가면 섬 주민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대체 여객선 투입이 필수적이나 현재는 여객선 운영 선사가 예비선을 의무적으로 투입해야 할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양수산청은 운항 계약 시 업체에 “선박 대체 운항 책임”을 부과하고 있지만, 계약상 필수 조건에는 제외되어 있어 여객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체 여객선 투입은 전적으로 민간 선사의 ‘선의’ 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다. 특히 국가보조 항로의 경우에도 운항비용을 국가가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 항로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국가보조 항로 운영 선사들은 3년 단위 위탁계약 구조 탓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