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9.6℃
  • 흐림강릉 13.2℃
  • 구름많음서울 12.4℃
  • 맑음대전 10.3℃
  • 박무대구 8.2℃
  • 구름조금울산 15.1℃
  • 맑음광주 12.0℃
  • 구름조금부산 16.7℃
  • 구름많음고창 10.0℃
  • 구름조금제주 17.3℃
  • 흐림강화 10.2℃
  • 맑음보은 6.3℃
  • 맑음금산 6.5℃
  • 구름조금강진군 9.9℃
  • 구름조금경주시 6.9℃
  • 구름많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정치


「여론조사」 성남 '분당갑' 이광재 51%, 안철수 38%,...'분당을' 김병욱 46%, 김은혜 42%

4·10 총선에서 최대 격전지 중 한 곳으로 꼽히는 성남 분당갑에서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이 안철수 국민의힘 후보를 최대 13%p 차이로 앞서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5일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가 KBS 의뢰로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사흘 간 경기 분당갑 선거구 거주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를 실시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 수준 ±4.4%p) 이 후보가 51%, 안 후보는 38%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두 후보 간 격차는 13%p로 KBS가 의뢰한 2주 전 여론조사 때보다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다른 조사에서도 이 후보가 우위를 보이는 결과가 발표됐다.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2~3일 성남 분당갑 유권자 5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은 49%, 안철수 국민의힘 후보 지지율은 43%로 집계되며 두 후보 간 격차는 6%포인트(p)로 오차 범위(±4.4%p) 내 접전이었다. '지지 후보가 없다' 응답은 5%였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이광재 64%, 안철수 28%)와 50대(이광재 65%, 안철수 30%)에서 이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안 후보는 18~29세(이광재 37%, 안철수 46%)와 70세 이상(이광재 21%, 안철수 73%)에서 이 후보를 앞섰다.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은 15%, '계속 지지할 것'이란 응답은 84%로 집계됐다. 비례정당 투푠ㄴ 국민의미래 30%, 조국혁신당 26%, 더불어민주연합 19%로 집계됐다.

 

성남 분당을 김병욱 46%, 김은혜 42%


성남 분당을은 3선에 도전하는 김병욱 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정부의 홍보수석을 지낸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고 있는 지역이다.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같은 기간과 방법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김병욱 후보의 지지율은 46%, 김은혜 후보는 42%로 두 후보 간 격차는 4%포인트(p)로 오차 범위(±4.4%p)보다 작았다. '지지 후보가 없다'는 응답은 5%였다.

 

김병욱 후보는 18~29세에서 30대, 40대, 50대에서 지지율이 높았고 김은혜 후보는 60대와 70대에서 지지율이 높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8~29세 김병욱 45% 김은혜 29%, ▲30대 김병욱 51%, 김은혜 30%, ▲40대김병욱 61%, 김은혜 35%, ▲50대 김병욱 53% 김은혜 38%, ▲60대 김병욱 32% 김은혜 62%, ▲70세 이상 김병욱 20% 김은혜 70%로 집계됐다.

"지지여부와 관계없이 당선될 것 같은 후보를 꼽으라"는 질문에는 김병욱 후보 44%, 김은혜 후보 41%라고 응답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만 18세 이상 남녀 유권자를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무선 전화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했다.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4.4%p다. 응답률은 분당갑 17.5%, 분당을 17.9%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