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0.7℃
  • 구름많음강릉 13.4℃
  • 박무서울 13.2℃
  • 박무대전 11.8℃
  • 박무대구 12.0℃
  • 박무울산 15.2℃
  • 박무광주 14.8℃
  • 흐림부산 18.7℃
  • 맑음고창 12.7℃
  • 맑음제주 21.4℃
  • 맑음강화 12.9℃
  • 구름많음보은 9.4℃
  • 구름많음금산 7.7℃
  • 맑음강진군 15.7℃
  • 구름많음경주시 12.3℃
  • 구름많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정치


민주당 서삼석 "침체된 지역경제 반드시 살리겠다"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 후보는 '농어촌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침체된 지역 경기를 반드시 살리겠다"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9일 오후 5시 20분경, 전남 신안군 압해읍 압해대교 입구에서 만난 서 후보는 자신의 이름이 적힌 파란색 점퍼에 "정권심판! 지역 발전 마무리 잘 하겠다"고 적힌 피켓을 목에 걸고 퇴근길에 나선 시민들에게 일일이 인사했다. 일부 시민들은 "서삼석 화이팅"을 외치기도 했다.

 

미세먼지가 심하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씨였지만 서 후보는 마스크도 하지 않은 모습이었다. 당선된다면 어떤 각오로 일하겠냐는 질문에는 "힘 있는 3선 국회의원으로 속 시원하게 정치하겠다"고 말했다.

 

서 후보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는 지역 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쌓아온 인적 네트워크를 십분 발휘해 목포대 글로컬대학 선정의 마중물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국 유인도서 42%가 밀집되어 있고 전남 동부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료취약 지역인 전남 서부권에 의과대학 유치가 시급하다”며 목포대 의과대학 유치에도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현역 의원이기도 한 서 후보는 6년 임기 중 3년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2년 만에 전남·광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맡아 중량감을 키웠다는 평가를 받은다. 특히 2018년 6조 원대의 국비 예산을 2024년 9조원 시대를 전남과 함께 열었다.

 

21대 국회에서는 지역구의 농어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법안들을 대표발의해 통과시켰다. 

 

대표적인 법안은 요건 충족 시 쌀 시장 격리를 의무화하는 '양곡관리법'과 '농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법, 어업인·임업인의 소득보장을 위한 '임업직불제법, 여성 농어업인의 권리 시장을 위해 국가 책임을 법에 담아낸 여성농어업인 육성법,  지방소멸 위기 대응 3+1 법 등이다.

 

서 후보는 이번 총선 공약으로 ▲ 영암의 바이오소재 농산업클러스터 육성사업, ▲씨름 대표 랜드마크화 위한 국립씨름연수원 건립, ▲AI 첨단농산업 융복합 지구 추진,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한 항공사업법 재개정, ▲수산 종자산업의 육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립수산종자원' 유치, ▲청년 특화 임대형 스마트팜단지 조성, ▲무안 현경 송정-마산 4차로 확장,  ▲신안군의 차질없는 흑산공항 건설 추진, ▲섬 지역 이동권 보장을 위한 여객선 공영제 강화, ▲ 국가해양공원 지정 추진, ▲ 해상풍력 유지보수항만 건설 ▲천사섬, 국가 정원 선정 추진, ▲장산~ 신의 연도교 신설 등을 내걸고 있다. 

 

한편, 서삼석 후보는 3선 무안군수 출신으로 지난 2018년 재보궐 선거, 2020년 총선에서 당선된 재선 의원으로, 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 원내부대표, 수석사무부총장 등 주요 당직을 맡았다. 현재는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