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6.0℃
  • 맑음강릉 20.3℃
  • 맑음서울 16.5℃
  • 구름많음대전 15.8℃
  • 구름많음대구 14.8℃
  • 구름조금울산 18.7℃
  • 구름조금광주 16.4℃
  • 구름조금부산 21.0℃
  • 구름조금고창 18.5℃
  • 맑음제주 21.1℃
  • 맑음강화 15.4℃
  • 구름조금보은 13.4℃
  • 구름조금금산 15.4℃
  • 구름조금강진군 18.8℃
  • 구름조금경주시 17.5℃
  • 맑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메뉴

정치


이태원 참사 국회 추모제...金의장 "제도적 문제 해결에 힘 모을 것"

김진표 국회의장은 이태원 참사 발생 100일을 맞은 5일 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해 제도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국회가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국회 추모제'에서 추모사를 통해 "반복되는 재난은 우연이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가 주최하고 국회 연구단체 생명안전포럼이 주관한 이날 추모제에는 여야 의원들과 유가족 등이 대거 참석했다.

 

참사 백일을 맞아 국회에서 추모제를 열게 됐다고 설명한 김 의장은 "여야가 함께 추모의 마음을 모아주셨다"며 "국회는 우리 국민 모두를 대표하는 기관이다. 그런 면에서 오늘 이곳 국회에서 추모의 의식을 여는 것은 국민 모두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낸다는 각별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우리 국회는 여야가 함께 준비한 '국회의 다짐'을 발표한다"며 "참사의 원인과 진상을 분명하게 밝히고, 다시는 이런 불행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여야가 노력하겠다고 하는 다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우리 국회는 저 하늘의 별이 된 분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은 물론, 피해자들을 돕는 일에도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장은 영국 사회가 34년 전에 발생한 '힐즈버러 참사'의 진상을 밝히는 일로 분주한 일을 소개했다. 힐즈버러 참사는 지난 1989년 영국 축구장에서 발생한 참사로 당시 97명이 목숨을 잃은 바 있다.

 

그는 "사고 발생 34년이 지난 요즘, 영국 경찰은 경찰의 실패가 비극의 원인이었다고 뒤늦게 고백하고, 또 사과하고 있다"며 "너무 늦은 정의는 정의가 아니라는 말이 있다.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규명하며,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는 것은 아무리 많은 세월이 흘러도 피할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이어 "지난 두 달여, 우리 국회는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국정조사를 진행했다. 이제, 국정조사는 마무리되었지만, 참사를 기억하고, 책임을 규명하며, 다시는 이런 불행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대책을 세우는 데는 시한이 따로 있을 수 없다"며 "오늘, 우리 국회가 유가족과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다짐을 제대로 실천할 수 있도록 국회의장도 살피고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제도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한 김 의장은 "반복되는 재난은 우연이 아니다"라며 "더 이상 우리 국민이 억울한 죽음을 당하지 않도록 국회가 충분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인 이전에 어른의 한사람으로서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우리 아이들에게 미안하고, 부끄럽다"며 "하늘나라에서는 평안하기를 기도한다.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고 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한강버스, 강바닥에 걸려 멈춰...민주 “예견된 위기”
서울의 수상교통 수단인 한강버스가 강바닥에 걸려 멈춰서 승객 82명이 구조됐다. 서울시와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어제(15일) 오후 8시 24분쯤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 인근 강바닥에 걸려 멈췄다. 사고 직후 승객 전원이 구조됐으며 인명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은 16일 “'시민의 발'이 아닌 서울시 행정 난맥상을 드러낸 한강 버스, 오세훈 시장은 하인리히 법칙의 경고를 명심하라”고 지적했다. 박경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이번 사고는 우발적 사고가 아니라 예견된 위기”라며 “1:29:300의 하인리히 법칙에 따르면 1번의 대형 사고는 우연히 발생하지 않으며, 29번의 작은 사고와 300번의 잠재적 위험이라는 경고가 선행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강버스와 관련한 지금까지의 사고들은 하인리히 법칙의 임계점에 다다랐음을 보여주는 징후”라며 “더 큰 사고로 이어지기 전에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그간 한강버스는 이물질 접촉, 프로펠러 로프 걸림 등 고장과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서울시 행정의 안전불감증을 경고해 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행을 강행하다가 또 다시 아찔한 사고가 발생한 것은 오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