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주어진 연차를 다 사용하지 못하는 직장인이 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기초 근로 복지에서도 심각한 불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에 따르면 남녀직장인 1,154명에게 ‘연차사용과 유용한 복지제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6.3%가 ‘매년 연차를 다 사용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어 ‘대체로 다 사용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직장인도 33.6%에 달하며 약 10명 중 8명이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년 연차를 모두 사용한다’는 직장인은 20.1%로 직장인들 사이에도 연휴와 관련된 기본 복지에서 확연한 차이를 드러냈다. 특히 근무기업현황과 직급별로 차등이 심했다.
‘매년 연차를 모두 사용한다’고 답한 직장인은 28.6%로 임원급이 가장 많았다. 이어 ▲사원급 23.5%, ▲대리급 18.9% 순으로 많았다.
이에 반해 ‘매년 연차를 다 못 쓴다’는 답변은 차·부장급이 57.0%로 가장 많았다. 과장급도 절반이 넘는 53.3%가 매년 연차를 다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근무기업현황별로도 차이가 났다. 외국계기업에 다니는 직장인 가운데 연차를 모두 사용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53.1%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국내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 중에서는 ▲대기업 21.7%, ▲공기업 21.1%, ▲중견기업 18.6%, ▲중소기업 18.7%순으로 외국계 기업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국내기업 현황에서서 확인됐듯이 종소기업에 다니는 직장인들이 가장 열악한 복지환경에서 근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평균 총 연차 사용율은 49.1%로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10개 중 5개 정도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총 연차 사용울에서도 외국계기업에 근로하는 직장인이 70.6%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이어 ▲대기업 55.7%, ▲공기업 49.2%, ▲중견기업 48.1%, ▲중소기업 47.4% 수준을 보였다.
특히 직장인들은 ‘현재 본인에게 가장 도움이 되거나, 도움이 될 것 같은 복지제도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연차제도’ 항목에 42.2%의 응답률을 보이며 여가가 있는 삶을 갈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도 직장인들은 ▲유연근무제나 자율 출퇴근제 등 탄력근무제 36.6%, ▲명절상여금 지원 32.1%, ▲점심식대 지원/제공 31.0%, ▲여름휴가비 지원 19.8%, ▲자녀학비 지원 13.7%, ▲자기계발비 지원 11.4%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