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8일, 여성가족부는 2015년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의 여성임원이 2013년과 비교해, 165명으로 약 41% 상승했다고 밝혔다. 여성임원이 한 명이라도 있는 기업은 같은 기간 36개에서 48개로 약 33% 증가했다고 나타났다.
이번 발표는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여성 고용 활성화 및 양성평등 확산’을 위해 기업의 여성인재 활용을 독려하고자 이뤄졌다.
2015년 보고서에 따르면, 100대 기업의 전체 임원 중 여성임원은 23%를 차지했고, 30%가 넘는 여성임원비율은 5.1%로 집계됐다.
산업별로는 숙박 음식점 업이 7.1%, 출판·연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5.6%로 순이었다. 여성임원이 가장 많이 분포된 산업은 금융보험업 16개, 제조업 14개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기가스증기수도 사업, 부동산임대업 등의 산업분야에서 여성임원 하나도 없다는 점이다. 또 남성임원에 비해 여성임원 비율을 감안 할 때,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인재를 더 발굴해야한다고 분석됐다.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은 “조직 내 고위직에서 여성비율이 확대되는 것은 양성평등 의사결정과 기업문화 개선측면에서 중요하다”며 “여성임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의미있다”고 밝혔다. 또한 “여성들이 사회의 핵심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나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