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무바라크 ‘혼수상태’이지만 아직 사망은 아니야…


이집트 전 대통령인 호스니 무바라크가 19일(현지시간)외부병원으로 후송조치 되었다고 한다. ''무바라크''는 이집트 최장 독재 집권자로 ‘카이로의 봄’인 시민혁명이 일어나는 내내 실탄과 최루탄, 물대포 공격 등 시민들을 강경진압 해, 850여명의 희생자를 낸 바 있다.

이후 시민혁명은 시민들이 승리하게 되면서 독재자 ‘무바라크’는 지난해 첫 재판에서 종신형을 선고 받고 교도소 병원에서 수감생활을 해왔다.
수감 당시에도 건강상의 이유로 교도소 병원에서 생활 해오던 ‘무바라크’는 지난 19일 오후 갑작스런 십장마비 증세와 뇌졸중 증상까지 함께 보여, 교도소 병원 측에서 급하게 소생 시술을 한 뒤, 카이로 남부의 군 병원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이날 앞서 이집트 관영 메나(MENA) 통신은 “무바라크의 심장 박동이 멈췄으며 심장 충격기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며 “그가 `임상적(Clinically)'' 사망”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APP와 로이타 등에 따르면, 현재 ‘무바라크’는 완전히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인공호흡기를 착용했지만 아직 임상적 사망이라고 하기엔 시기상조라며 이라크 언론과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라크 대부분의 시민들은 “무바라크가 남은 일생을 교도소 병원대신 안락한 병원에서 편하게 지내기 위한 꼼수를 부리는 거 아니냐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일부는 곧 발표 될 이라크의 대선결과에 대한 관심을 분산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무바라크’의 건강문제를 이용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 되고 있으며 현재 이라크의 상황은 매우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상태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김건희, 檢에 제출한 '불출석 사유'가 기가 막혀
파면 당한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씨가 검찰에 오는 14일 소환 요구에 "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씨 측은 이날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김 씨 측이 제출한 사유서에는 "특정 정당의 공천 개입 의혹에 관한 조사가 강행되면 추측성 보도가 양산돼 조기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김 씨에게 오는 14일 검찰청사로 나와 정치자금법 및 공직선거법 위반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으라는 출석요구서를 보냈다. 한편, 일각에서는 '명태균 게이트'를 수사 중인 검찰이 이번 김건희 소환조사 통보는 일종의 쇼이자 꼼수라는 지적이 있다. 이미 윤석열·김건희 부부에 대한 검찰의 수사 의지가 없다는 것은 '명태균 게이트' 관련 공천개입 의혹 수사에서 확인된 바 있다. 특히 여전히 심우정 검찰총장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지휘부가 윤석열의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김건희 강제구인은 사실상 물건너 갔다고 보고 있다. 결국 김건희 수사는 검찰이 아닌 특검을 통해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나아가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선 특검을 통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