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회식 애창곡 1위는?

직장인 회식 시 직급에 따라 선호하는 애창곡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8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과반수 이상인 54.2%의 직장인이 회식 시 노래방에서 마이크를 잡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또 직급별로 선호하는 노래 장르와 애창곡에도 차이가 있었다.

사원급 직장인이 노래방 회식에서 가장 주로 부르는 노래 장르는 ‘트로트’(30.5%)였다. ‘최신 아이돌 댄스곡’은 24.7%로 다음을 차지했다. 이어 ‘1990/2000년대 히트곡’(24.7%), ‘발라드’(20.2%)의 순이었다.

사원급 직장인의 회식 애창곡 1위에는 ‘박상철의 무조건’(9.4%)이 올랐고, 2위 ‘싸이의 강남스타일’(9.2%), 3위 ‘조용필의 여행을 떠나요’(7.8%), 4위 ‘강진의 땡벌’(7.5%), 5위 ‘소녀시대 GEE’(7.2%) 순으로 나타나 주로 신나는 댄스곡이 상위를 차지했다. 

이어 ‘인순이의 밤이면 밤마다’(5.5%), ‘이문세의 붉은 노을’(5.4%), ‘장윤정의 어머나’(5%), ‘벅의 맨발의 청춘’(4.5%), ‘홍진영의 사랑의 배터리’(4.3%), ‘김수희의 남행열차’(3.9%), ‘부활의 네버엔딩스토리’(3.6%), ‘DJ DOC의 런투유’(3.5%), ‘아이유의 좋은 날’(3.5%) 등의 의견이 뒤를 이었다.

주임-대리급 직장인은 조금 달랐다. 가장 선호하는 회식 노래 장르로 ‘1990/2000년대 히트곡’(28.1%)이 꼽혔고, ‘발라드’(26.3%), ‘트로트’(22.2%), ‘최신 아이돌 댄스곡’(20.4%)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임-대리급 직장인의 회식 애창곡 1위는 사원급 직장인과 동일하게 ‘박상철의 무조건’이 10.4%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2위에는 ‘조용필의 여행을 떠나요’(10%)가 올랐고, ‘이문세의 붉은노을’(9.9%), ‘버스커버스커의 벚꽃엔딩’(8%), ‘싸이의 챔피언’(5.3%), ‘DJ DOC의 런투유’(5.3%), ‘벅의 맨발의 청춘’(5.2%)의 순이었다. 이외에도 ‘부활의 네버엔딩스토리’(4.8%),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4.7%) 등의 발라드 역시 상위권에 올랐다.

그렇다면 과장 이상급 직장인들의 회식 애창곡은 어떨까? ‘조용필의 여행을 떠나요’(11.6%), ‘박상철의 무조건’(11.4%)이 각각 1,2를 차지해 과장 이상급 직장인 역시 회식 자리에선 신나는 댄스곡과 트로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위에는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10.3%)가 올라 사원/대리급 직장인들 보다는 선곡의 다양성을 보여줬다.


이희 기자 leehee@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