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경제


'착한가격'엔 지갑 열었다...다이소 지난해 매출 4조

매출 3.9조, 영업이익 3711억…이익률 10% 임박
뷰티, 패션 상품군 최대 실적…K 관광 코스로도 각광

 

내수 부진에 따른 소비 위축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초저가 생활용품점 다이소가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다이소가 뷰티·패션 등으로 상품군을 확장하고, 온라인몰 강화, 외국인 수요 발굴 등에 적극 나선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15일 아성다이소에 따르면 다이소는 지난해 매출 3조9689억원, 영업이익 371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다. 매출은 1년 전보다 14.7%, 영업이익은 41.8% 급증했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9.35%로 이마트(0.16%) 쿠팡(1.46%)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다이소가 급성장한 주요 배경으로는 뷰티·패션 등 고마진 상품군을 대폭 늘렸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다이소에서 판매한 뷰티 브랜드와 상품 수는 각각 60개, 500여종이다. 2023년 말(26개 브랜드,250여종)에 비해 2~3배로 늘어난 규모다. 다이소 뷰티 제품이 히트를 치자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뷰티 대기업들도 다이소 전용 상품을 개발해 입점했다.

 

의류 매출도 두 자릿수 성장했다. 지난해 의류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34% 늘었다. 맨투맨·후드티·패딩 조끼 등이 포함된 다이소 이지웨어 상품군의 겨울(2024년 10월~2025년 1월) 매출은 86% 급증했다. 소비 침체 속에서 가성비 의류를 찾는 수요를 공략한 전략이 통한 것이다.

 

온라인몰을 강화한 것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다이소는 2023년 12월 기존 다이소몰(오픈마켓)과 샵다이소(자사몰)을 다이소몰로 통합했다. 통합 이후 평일 오후 2시 전 주문하면 다음 날까지 배송하는 익일배송, 픽업 서비스 등도 매출에 효과를 보고 있다. 또한 다이소 매장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지난해 다이소의 해외 카드 결제 건수와 금액은 각각 42%, 50% 늘었다.

 

다이소 관계자는 “SNS를 통해 ‘다이소 쇼핑리스트’, ‘한국 여행에서 꼭 사야 할 아이템’ 등 외국인 관광객들이 영어로 올리면서 다이소 콘텐츠가 수백개에 달한다”며 “명동과 홍대 점포의 외국인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