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메뉴

사회·문화


진공청소기 흡입력 최대 3배 차이…가격차 최고 8배

보급형 중 삼성전자 가격 저렴하고 흡입력 가장 우수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보급형 진공청소기 8종과 기능이 다양한 고급형 제품 11종, 총 19종을 대상으로 흡입력, 소음, 청소 중 미세먼지 방출량 등 품질 및 구조적·전기적 안전성을 비교·평가했다.

비교 결과 조사대상 제품 간 주요 성능(흡입력, 소음) 차이에 비해 가격이 최대 8배까지 차이나 가격이 비싸다고 해서 주요 성능이 우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급형 제품 중 에이스(AVC-950), 필립스(FC8144), LG전자(VC4014LHAM), 삼성전자(VC331LWDCUD)제품은 가격이 저렴하면서 흡입력, 소음 등 주요 성능 측면에서 우수한 편이다.

삼성전자 제품은 가격(약 13만 원)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흡입력 측면에서 (최대) 414W로 보급형 제품 중 가장 뛰어났고 소음은 양호하며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3등급으로 다른 품질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급형 진공청소기는 싸이클론 방식으로 먼지를 집진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별다른 부가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은 제품이다.

반면 고급형 제품 중 닐피스크(X300C), 다이슨(DC37), 지멘스(VSZ61240)제품 등은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지만 가격이 70만 원 이상으로 비싸면서 흡입력, 소음 등 품질 측면에서 삼성전자(VC-UBJ937) 제품에 비해 떨어졌다.

고급형 진공청소기는 판매업체별 최고가 제품으로 싸이클론 방식 또는 먼지봉투 방식으로 먼지를 집진하고 바닥상태에 따라 흡입력이 자동조절 되거나 무선으로 흡입력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제품이다.

일부 제품들은 표시된 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소비자를 오인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DOR-C70OR), 일렉트로룩스(ZUAG3802) 등 2개 제품, 측정된 에너지 소비효율등급이 표시된 등급에 미달하고 있다.

닐피스크(X300C), 루체스(LC-V60AT), 밀레(S5481), 카처(VC6300), 필립스(FC8144) 등 5개 제품은 소비전력을 흡입력으로 오인하기 쉽게 표시돼 있다. 이번에 비교 조사한 전 제품은 구조적·전기적 안전성 측면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퀴의 조립상태나 제품의 가공 상태 등 구조와 외관을 살펴봤을 때 전 제품이 양호했다.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발견된 제품은 없었으며 내과속도(사용 중 흡입구가 막혔을 때 모터과열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 가능성) 등 안전성 측면에서도 별다른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제품은 표시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결과 대우(DOR-C70OR), 일렉트로룩스(ZUAG3802) 등 2개 제품은 표시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에 미달해 개선이 필요했다.

특히 일부 수입제품의 경우 소비전력을 흡입력으로 오인하기 쉽게 표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닐피스크(X300C), 루체스(LC-V6-AT), 밀레(S5481), 카처(VC6300), 필립스(FC8144) 등 5개 제품은 소비전력을 마치 흡입력인 것처럼 표시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진공청소기에 관한 자세한 비교정보는 스마트컨슈머 내 비교공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