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5명 중 3명 "지난해 저축"...평균 850만원

 

직장인 5명 중 3명이 ‘작년에 저축했다’고 밝힌 가운데 이들이 지난 한 해 동안 저축한 금액은 평균 852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저축을 했다고 밝힌 직장인 중 절반을 웃도는 52.2%가 ‘매달 일정금액을 꾸준히 저축했다’고 답했다. 

 

잡코리아는 최근 알바몬과 함께 직장인 2,112명을 대상으로 ‘2019년 저축 현황’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잡코리아가 알바몬과의 공동 설문조사에서 ‘지난 해 저축을 했는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64.7%가 ‘저축을 했다’고 답했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는 응답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30대 직장인의 62.8%, 40대 이상 직장인은 60.5%가 ‘작년에 저축을 했다’고 답한 반면, 20대 직장인은 이보다 최대 15% 포인트가 높은 75.3%가 ‘저축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지난 해 총 저축금액에 있어서는 20대의 저축액이 가장 낮았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고 밝힌 20대 직장인의 저축 총액은 평균 776만9천원으로 집계됐다. 40대 이상 직장인은 평균 818만1천원을 저축했다. 특히 30대 직장인의 저축액은 평균 906만8천원으로 20대 저축액보다 130만원 가량 높게 집계됐다.

 

지난 해 저축을 했다는 직장인들에게 그 전과 지난 해의 저축액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질문한 결과 40.1%의 직장인이 ‘별 변화가 없었다’고 답했다. ‘저축을 늘렸다’는 응답은 31.5%로 ‘줄였다(28.4%)’보다 소폭 높았다. 눈에 띄는 점은 20대의 경우 ‘저축을 늘렸다’가 39.2%로 ‘줄였다(17.6%)’보다 2배 이상 높았던 반면, 40대 이상 직장인은 ‘줄였다’는 응답이 34.5%로 ‘늘였다(19.8%)’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직장인들이 지난 한 해 저축한 방식을 살펴 보면 ‘매달 일정 금액을 꾸준히 저축했다(52.2%)’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금액은 들쭉날쭉했지만 매달 꾸준히 저축했다’는 응답은 28.8%, ‘비정기적으로 상황에 따라 저축했다’는 응답은 19.0%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해 저축을 전혀 하지 못했다’고 답한 직장인은 746명, 35.3%였다. 이들은 지난 해 저축하지 못했던 가장 결정적인 이유로 ‘대출금’을 꼽았다. ‘갚아야 할 대출금이 많아서 현금을 저축할 여유가 없다’는 응답이 42.5%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카드값, 생활비를 쓰고 나면 남는 돈이 없다(40.8%)’는 응답이 바짝 그 뒤를 쫓았다. 연령별로 저축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 보면 40대 이상(54.4%) 및 30대(44.6%) 직장인은 ‘대출금 압박’을 가장 많이 꼽은 반면 20대는 ‘카드값, 생활비’를 꼽는 응답이 63.2%로 가장 높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정부 “소비쿠폰 URL 포함 문자 클릭 금지…무조건 스미싱”
정부는 14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해, 카드사·은행·정부를 사칭한 스미싱 문자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문자에는 소비쿠폰 지급 대상이나 금액 안내, 카드 승인·신청 등을 가장하며 URL을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사례가 있으며, 이를 누르면 악성 앱이 설치돼 금융정보와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정부와 카드사, 지역화폐사는 2차 소비쿠폰과 관련해 URL이나 SNS 링크가 포함된 안내 문자를 발송하지 않기로 했다. 배너 링크나 푸시 알림 등도 제공하지 않는다. 앞서 1차 소비쿠폰과 관련해 관계기관이 탐지한 스미싱 건수는 430건으로 집계됐다. 대부분 불법 도박 사이트 연결이나 개인정보 탈취형 앱 설치를 유도하는 유형이었다. 특히 개인정보 탈취형 악성 앱은 감염 후 주변인에게 문자를 재전송하는 기능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스미싱 의심 문자 수신이나 URL 클릭 후 악성 앱 감염이 의심되면, 24시간 무료 운영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상담센터(☎118)에 신고할 수 있다. 2차 소비쿠폰 시행 전에는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예방 안내 문자가 순차 발송되며, 온라인 신청 페이지에도 주의 문구가 포함된다. 또한 은행과 주민센터를 통한 대면 신청 시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