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2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보건의료인 12% “폭행 피해”…대응메뉴얼 마련은커녕 실태조사도 안 돼

2017년 정신장애범죄자 9,027명…2013년 대비 54% 증가
“의료인 단체, 복지부에 대책 마련 촉구했지만, 복지부는 나 몰라라”

 

보건의료인 10명 중 1명 꼴로 폭행 피해를 경험했지만, 이에 대한 대응메뉴얼 마련은커녕 실태조사도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장정숙 민주평화당 의원은 보건의료노조의 ‘2018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보건의료인의 11.9%가 폭행 피해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2만7,304명 중 폭행 피해 경험자는 2,294명으로 나타났다.

 

가해자는 환자가 71%로 가장 많았고, 보호자 18.4%로 뒤를 이었다.

 

2017년 말 기준 전체 보건의료인 67만146명 중 7만9,747명이 폭행 피해를 경험한 것이다.

 

또한 경찰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정신장애범죄자는 9,027명으로 2013년 5,858명 대비 54%나 증가했다.

 

‘제2의 임세원 교수’ 사건을 막기 위해서라도 정신장애범죄자에 대한 추적관리와 보건의료인 폭행 피해 예방 및 대응메뉴얼 마련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보건복지부는 지금까지 보건의료인 보호를 위한 연구용역 및 실태조사, 대응메뉴얼을 마련하지 않았다.

 

정 의원은 “지난 5년간 보건복지부에서 연구용역 개발비로 총 5,026억2,900만원을 사용했지만, 진료 중인 보건의료인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용역 개발은 전무하다”며 “의사협회에 따르면 환자에 의한 의료진 피살은 확인된 사안만 4건이고, 의료인 폭행 사건 사례가 많아 의료기관 내 폭행·협박 등 대책을 촉구했지만, 복지부는 나몰라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다 보니 의료인들은 이같은 피해를 경험하고도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보건의료노조의 조사에서 폭행 피해를 당했다고 응답한 보건의료인의 66.6%는 “참고 넘겼다”고 답했다.

 

정 의원은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보건의료인 모두의 안전히 확실히 보장돼야만 보다 많은 환자들이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며 “앞으로 이런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실태조사와 함께 필요하다면 의료인 안전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병원과 같이 재정이 열악한 의료기관의 경우 안전요원 배치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한 예산 일부를 국가가 지원해주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속옷 저항’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온라인 유출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에서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CCTV 영상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2일 온라인상에서 퍼진 19초짜리 구치소 영상에는 윤 전 대통령이 자리에 앉아 특검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무언가 말하는 장면과 난감해하는 집행관들의 모습도 그대로 포착됐다. 앞서 여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 대한 CCTV 등 영상 기록을 열람한 바 있다.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CCTV 영상 열람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누워 집행을 거부하면서 ‘나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며 “그러면서 변호인을 만나겠다고 하는 등 집행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은 열람 현장에 참석했던 국회 관계자가 영상을 촬영해 유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국회 법사위원 쪽은 영상 촬영 및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측은 영상 유출 경위 파악에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법적 대응 여부를 논의 중이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