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소방력 부족’ 심각…소방관 1명이 여의대 2배 면적 책임

법정 기준 대비 충원률 약 65%

 

소방인력과 장비가 법정 기준에 맞게 편성된 지방자치단체가 한 곳도 없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소방력 부족’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이 부족해 소방관 1명이 여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지역을 책임져야 하는 실정이다.

 

1일 홍문표 자유한국당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소방력 현황에 따르면 소방인력 및 장비가 법정 기준에 맞게 편성된 지자체는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인력과 장비 등의 소방력 법정 기준은 ‘소방기본법(소방력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데, 법정 기준 소방인력은 총 6만9,265명이다.

 

하지만 현재 소방인력은 4만4,983명(2017년 12월31일 기준)으로, 법정 기준 대비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법정 기준 대비 충원률은 전남이 53.2%(법정 기준 5,041명, 정원 2,680명, 현재원 2,412명)로 가장 열악했고, 세종 55.6%(법정 기준 612명, 정원 340명, 현재원 318명), 충남 56.1%(법정 기준 4,831명, 정원 2,708명, 현재원 2,467명), 충북 57.7%(법정 기준 3,050명, 정원 1,761명, 현재원 1,685명) 등이다.

 

또한 소방관 1인당 담당 인구수는 경기가 1,54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창원(1,480명), 서울(1,418명), 울산(1,243명)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3년간 소방관 1인당 담당 인구수는 매년 감소(2015년 1,239명, 2016년 1,181명, 2017년 1,091명)하는 추세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인 미국(911명), 일본(779명) 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소방관 1명의 관할 면적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강원은 소방관 1명이 5.28㎢를 담당하고 있는데, 이는 여의도 면적(2.9㎢)의 약 2배에 달한다. 경북(4.88㎢), 전남(4.60㎢), 전북(3.81㎢), 충북(3.58㎢) 등도 소방관 1명이 상당히 넓은 면적은 담당해야 한다.

 

상황이 이런데, 만취 상태이거나 긴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 구급차를 불러 현장에서 구급대원이 이송을 거부한 사례가 5년간 7,300여건에 달하고, 구급대원을 폭행하는 사례도 매년 평균 168건씩 발생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적으로 840건의 구급대원 폭행 사례가 발생했다.

 

홍 의원은 “전반적으로 열악한 소방력에 대한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소방관 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고 그에 따른 장비와 예산이 충분히 뒷받침돼 우리의 소방력이 선진국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